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여름철 바지락 대량 폐사는 높은 수온·기생충 감염이 원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군산대 연구팀 "퍼킨서스충 감염 심할수록 고수온 때 바지락 폐사 높아"

(군산=연합뉴스) 최영수 기자 = 여름철 바지락 대량 폐사는 높은 수온과 기생충 감염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발생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연합뉴스

박경일 교수와 폐사한 바지락
[군산대 제공=연합뉴스]



군산대는 18일 해양과학대학 박경일 교수가 국립수산과학원 갯벌연구센터와 공동으로 서해안에서 발생하는 바지락의 대량 폐사 원인을 규명했다고 밝혔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여름철 26도가 넘는 수온이 1주일 이상 지속할 때 저항력이 떨어져 바지락 대량 폐사가 발생하고, 폐사한 바지락은 생존한 바지락에 비해 기생충 '퍼킨서스' 감염도가 2배가량 높았다.

퍼킨서스는 60여년 전부터 미국과 유럽에 서식하는 굴과 바지락의 폐사 원인 생물로 알려진 단세포 기생충이다.

우리나라는 1997년 처음으로 서해안 바지락이 이 기생충에 감염된 것으로 학계에 보고됐고, 이후 일본과 중국산 바지락에도 널리 퍼졌다.

연합뉴스

기생충 '퍼킨서스' 유주자 [군산대 제공=연합뉴스]



박 교수는 "햇볕이 강한 7월 하순부터 2주가량 서해안 갯벌이 35도 이상 지속하면, 바지락은 서식에 적당한 온도를 벗어나 극심한 스트레스를 받는다"며 "이때 기생충이 숙주(바지락)의 내성을 약화해 짧은 기간에 대량 폐사를 유발한다"고 설명했다.

박 교수는 "바지락 대량 폐사를 줄이려면 변화된 환경에 적응 가능한 대체 종 개발에 힘쓰고, 질병 관리기술을 충실히 적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kan@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