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추미애·親文, 지방선거 공천룰 '氣싸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秋대표 "시·도당 권한 센 지금 방식선 실력 있는 신인 진입 힘들어"

親文측 "규칙 지키지 않는 어불성설… 秋의 마이웨이 걱정스럽다"

- 선거 10개월 앞두고 攻防 시작

秋대표측 "시·도당 장악 親文이 기득권 침해당할까 봐 공세"

親文측 "당헌·당규 지키자는 걸 혁신에 반대하는 것으로 몰아"

10개월 남은 내년 지방선거 공천 '룰'을 놓고 더불어민주당 내부에서 갈등이 불거지고 있다. 추미애 대표는 "당을 혁신해야 한다"며 정당발전위원회를 신설하고 이 기구를 통해 현재의 공천 규칙을 고치려고 하는 반면, 친문(친문재인)계 주류는 "문재인 대통령이 대표 시절에 만든 룰을 왜 이유 없이 고치려 하느냐"며 반발하고 있다. 추 대표와 친문계는 지난 18일 비공개 의원총회에서 설전(舌戰)을 벌인 데 이어 지난 주말 동안 공개적으로 "소설 같은 허구와 왜곡" "당헌·당규도 실천하지 않는 어불성설" 등 거친 말을 주고받았다.

조선일보

더불어민주당 추미애 대표가 지난 18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인사말을 하기 위해 단상으로 나가고 있다. /연합뉴스


추 대표는 20일 페이스북에 "정발위(정당발전위원회)에 대한 불필요한 억측과 왜곡이 있다"며 "중앙당이 공천권을 회수하려고 한다든지 문재인 대통령의 발목을 잡으려 한다든지 소설 같은 허구와 왜곡을 시도하고 있다"는 글을 올렸다. 지난 18일 비공개 의원총회에서 홍영표·전해철 의원 등 친문 핵심들이 "지방선거가 1년도 남지 않은 상황에서 정발위가 룰을 바꾸는 것은 당헌·당규에 어긋난다"고 비판한 것을 공개 반박한 것으로 해석됐다. 추 대표는 내년 지방선거 공천 방식 변경 등을 논의할 정발위를 이달 초 구성했다.

현행 민주당 공천 규칙은 문재인 대통령이 당대표였던 2015년 김상곤(현 교육부 장관) 혁신위원장 주도로 만들어졌다. 시장, 지방의원에 대해 시·도당의 후보 추천권을 강화하고 중앙당이 개입하지 못하도록 하는 내용이다. 지방선거에는 내년 처음 적용된다. 추 대표는 현재 공천 룰이 정치 신인에게 불리하다고 주장한다. 추 대표는 이날 "당의 공천 방식 때문에 뜻있고 실력 있는 인재가 생활 정치에 기여할 수 있는 구조도 청년가산점제 같은 형식적인 것뿐"이라면서 "(당이 혁신되면) 계파와 당내 실세, 지역 국회의원의 입김이 아니라 자기 실력과 노력으로 생활 정치 참여자가 돼 정치를 배우고 국회에도 진출할 수 있다"고 했다. 공천 과정에서 지역구 국회의원, 시·도당 위원장보다 당원의 참여와 권한 확대를 강조한 주장으로, 현재 시·도당을 장악하고 있는 친문계를 겨냥한 것이라는 해석이 나왔다.

이에 대해 당 주류인 친문계 의원들이 공개 반박했다. 전해철 의원은 20일 페이스북을 통해 "지난 혁신위가 어렵게 마련해 당헌·당규에 반영한 혁신안조차 실천하지 않으면서 혁신을 얘기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라며 "당헌·당규를 실천하자고 하는 주장을 혁신에 반대하는 것처럼 오도하고, 오히려 이 규정에 대해 분권 전횡, 시도당 위원장의 줄 세우기 도구로 남용될 소지가 있다는 인식에는 우려를 금할 수 없다"고 했다. 홍영표 의원도 "지방선거를 통해 정부·여당의 기반을 다져야 하는 이 시점에 원칙이 불투명해진다면 큰 혼란이 오게 될 것"이라며 "(의원총회에서 나온 지적을) 반개혁, 구태적인 줄 세우기라고 몰아세우는 것은 온당치 않다"고 했다. 그는 "당대표는 지금 부여된 권한에서 내년 지방선거를 잘 이끄는 것 역시 중요하다"고도 했다. 황희 의원도 페이스북 글에서 "새로운 룰을 적용하더라도 다음 지방선거는 아니다"며 "이미 (공천 룰의 선거) 1년 전 발표라는 당헌·당규를 어긴 상황에서 룰을 뒤집는다면 새롭게 만든 룰도 다음 지도부가 지키지 않을 수 있는 개연성을 남길 뿐"이라고 했다.

한 재선 의원은 "추 대표의 '마이웨이'가 걱정될 수준"이라며 "의원들이 정발위를 불신하는 상황에 전혀 아랑곳하지 않는 것 같다"고 했다. 이에 대해 추 대표 측 관계자는 "정발위의 내용이 아무것도 정해진 게 없는데 일부 시·도당 위원장이 공천을 둘러싼 자신들의 기득권이 침해당할까 봐 미리 공세를 펴는 것"이라고 말했다.

[박수찬 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