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삼성 갤럭시노트7 폭발 원인 '배터리 자체 결함' 최종 결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키뉴스 백연식 기자] 삼성전자가 갤럭시노트7 폭발 원인에 대해 배터리 자체 결함으로 최종 결론을 내렸다. 삼성전자는 제품 20만대, 배터리 3만개로 진행한 대규모 충방전 시험에서 갤럭시노트7에 사용된 삼성 SDI배터리와 ATL 배터리에서 각기 다른 원인으로 소손 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번 갤럭시노트7 소손 원인 분석에 참가한 해외 전문기관들도 분석 결과를 통해 배터리 자체 결함으로 의견을 모았다.

삼성전자는 23일 오전 서초사옥에서 갤럭시노트7 폭발 원인을 공개하고, 향후 재발 방지 대책을 밝혔다. 이날 고동진 삼성전자 무선사업부 사장은 "정확한 원인 규명을 위해서 시장에서 발생한 소손 현상을 실험실에서 재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했다"며, "대규모의 재현 테스트 설비를 구축해 사용자 조건과 유사한 환경 하에서 충방전 테스트를 통해 소손 현상을 재현했으며, 이를 통해 정확한 분석을 진행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이번 소손 원인 조사의 객관성을 높이기 위해 UL, Exponent, TÜV 라인란드 등 해외 전문기관서도 독립적인 조사를 진행했다고 전했다. UL의 컨슈머비즈니스 부문 사지브 지수다스(Sajeev Jesudas) 사장, Exponent의 수석 연구원 케빈 화이트(Kevin White) 박사, TÜV 라인란드(TÜV Rheinland) 홀거 쿤츠(Holger Kunz) 부사장이 참석해 각각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Exponent는 A배터리에서는 음극택 부위 젤리롤 코너의 눌림 현상이 일어났으며, B배터리에서는 비정상적인 높은 융착 돌기와 그로 인한 절연테이프와 분리막 파손을 내부 단락을 발생시킨다고 분석했다.

키뉴스

고동진 삼성전자 무선사업부 사장이 갤럭시노트7 배터리 원인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갤럭시노트7 소손 원인에 대한 개선 외에도, 배터리 내부 문제를 확인할 수 있는 특수 장비를 도입하고 배터리와 완제품에 대한 대량 충방전 테스트, 사용자들의 실제 사용 환경을 고려한 가속 시험도 강화하는 등 '8 포인트 배터리 안전성 검사' 프로세스를 도입했고 전했다.

'안전성 검사', '배터리 외관 검사', 'X-레이 검사', '배터리 해체 검사', 'TVOC 검사', 'ΔOCV 측정 검사', '충방전 검사', '사용자 조건 가속 시험' 등이다.

삼성전자는 핵심 부품에 대한 설계와 검증, 공정관리 등을 전담하는 '부품 전문팀'을 구성하고 외부 전문가 영입을 확대하는 등 부품 개발에 대한 전문성을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

배터리 실장 공간을 추가로 확보하여 소비자가 사용 중 제품을 떨어뜨리는 경우에도 배터리에 가해지는 물리적인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치를 추가로 적용하는 한편, 배터리에 대한 안전 설계 기준도 강화한다.

또한, 충전 온도와 전류, 충전 속도에 대한 보다 안전한 알고리즘을 적용하는 등 소프트웨어 보호 알고리즘도 강화할 예정이다.

고동진 사장은 "혁신적인 노트7을 만들기 위해서 배터리 사양에 대한 목표를 제시했고, 배터리 설계와 제조 공정 상의 문제점을 제품 출시 전에 최종적으로 확인하고 제대로 검증하지 못한 것에 대해 책임을 통감한다"며, "경영 전반에 걸쳐 품질 최우선의 경영 체제를 강화해 제품 안전성에 있어서도 새로운 혁신을 지속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Copyright ⓒ 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