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IMF 위기 되풀이되나…'해외 경고음' 무시하는 정부

댓글 13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앵커]

우리나라 경제 상황에 대해서 경고성 메시지가 잇따르고 있지만 우리정부는 이를 제대로 보지 않고 있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습니다. 정부의 인식이 1997년 외환위기를 불렀을 때와 비슷하다는 지적입니다.

이주찬 기자입니다.

[기자]

기획재정부는 미국의 신용평가기관 무디스의 보고서를 분석한 보도자료를 배포했습니다.

한국이 대만보다 국가 신용 등급이 한 단계 높은 이유를 상세하게 다뤘습니다.

하지만 보고서 원문에 나온 "정치 양극화가 정책 이행을 지연시킬 수 있고, 박근혜 대통령과 연관된 스캔들 문제가 위험 요인"이라는 지적은 쏙 뺐습니다.

지난달 28일에도 비슷한 상황.

OECD는 내년도 세계경제가 회복될 것으로 전망하면서, 한국의 성장률은 기존의 3.0%에서 2.6%로 크게 낮췄습니다.

그럼에도 기재부는 이 내용은 충분히 설명하지 않고, 한국 경제가 완만한 회복세를 보인다는 점만 강조했습니다.

또 우리 기업에 대한 세무조사 등 사드 배치를 둘러싼 중국의 경제 보복이 현실화하는데도, 정부는 '예의주시 중'이라는 말만 반복하고 있습니다.

1997년 10월 말 미국 투자회사 골드만 삭스 등은 한국의 외환보유액 부족 문제를 일제히 경고했지만, 당시 정부는 이를 무시했습니다.

경제위기 우려가 커지는데도, 보여주고 싶은 것만 알리려는 정부 행태가 되풀이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옵니다.

이주찬 기자

JTBC, JTBC Content Hub Co., Ltd.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JTBC Content Hub Co., Ltd.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전체 댓글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