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AI 딥시크 “미 기술 훔쳐” 직격탄
메모리 반도체. 연합뉴스 |
미국 상무부 장관 하워드 러트닉 지명자는 전임 바이든 행정부에서 제정된 반도체법과 인플레이션감축법(IRA)에 근거해 기업에 지급하는 보조금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을 드러냈다. 보조금을 기대하고 미국에 대대적으로 투자해온 한국 기업들이 피해를 볼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러트닉 지명자는 기업들이 반도체법 보조금을 받기로 전임 바이든 행정부와 최종 계약을 체결했더라도 이번 정부가 그 내용을 검토하기 전에는 “보조금 지급을 장담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는 에드 마키 의원(민주·메사추세츠)이 ‘반도체법 보조금을 받기로 미국 정부와 확정한 계약을 이행(honor)하겠느냐’고 질문하자 “말할 수 없다. 내가 읽지 않은 무엇을 이행할 수 없다”고 답했다.
이날 청문회에서 러트닉 지명자는 미국에서 반도체를 생산하는 기업에 보조금을 지급하는 반도체법 취지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재검토 필요를 거듭 주장했다.
러트닉 지명자는 공화당 일각에서 IRA의 취지에 반하는 ‘구멍’이라고 비판해온 리스용 전기차 세액공제도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그는 버니 모레노 상원의원(공화·오하이오)이 유럽산 롤스로이스 전기차가 7500달러 세액공제를 받는 상황에 대해 질문하자 “우리는 그것을 끝내야 한다”고 답했다.
IRA는 최종 조립을 북미에서 하고 핵심광물 및 배터리 요건을 충족한 전기차를 구매한 납세자에게만 최대 7500달러의 세액공제를 주도록 했다.
이날 청문회에서는 최근 미국에 충격을 준 중국 인공지능(AI) 딥시크에 대한 대응을 묻는 질문도 이어졌다.
러트닉 지명자는 데비 피셔 의원(공화·네브래스카)과의 질의응답에서 “중국이 우리와 경쟁하려고 하면 경쟁하도록 두자. 하지만 우리의 도구를 사용해 우리와 경쟁하는 것은 막아야 한다”며 수출통제와 관세를 함께 활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딥시크의 혁신은 미국의 기술을 훔쳤기 때문이라고도 주장했다.
이어 “중국은 훔치고 침입했다. 우리의 지식재산권을 가져갔고 이것은 끝나야 한다”면서 수출통제를 “엄격히” 이행하겠다고 밝혔다.
또 미국이 AI 기준을 설정하고 전 세계가 따르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