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 은행, 정기예금 금리와 주택담보대출 금리 추이/그래픽=이지혜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대출금리 '요지부동'에 여기저기서 은행권을 향한 쓴소리가 나온다. 대출금리와 달리 예금금리는 뚝 떨어지면서 이자 장사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도 들린다. 설 연휴 이후 점차 대출금리의 낙폭이 커질 것으로 예상되지만 은행권은 대출 총량 추이를 따져보며 소극적이다.
30일 금융권에 따르면 4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의 24일 기준 고정형(5년) 주택담보대출(주담대) 금리는 3.477~5.30%로 집계됐다. 약 2개월 전인 지난해 11월 말(3.492~5.43%)과 견줘 하단이 0.015%포인트(P) 내린 데 그쳐 사실상 변화가 없다.
4대 은행의 고정형 주담대 금리는 금리 인하기에 들어섰는데도 최근 두 달간 내려가지 않고 있다. 지난해 12월12일(3.427~5.32%)이나 2주 전인 1월9일(3.461~5.30%)과 비교해도 마찬가지다. 지난해 12월 하순에는 오히려 주담대 금리 하단이 4%까지 오른 적도 있었다.
국내 시장금리에 영향을 주는 미 국채 금리(10년물)가 오르기도 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올해부터 금리 인하 속도 조절에 들어간다고 시사하자 지난해 12월 미 국채 금리는 빠르게 올랐다. 도널드 트럼프 취임도 변수다. 미 국채 금리는 트럼프의 유화적 태도에 내려가다가 캐나다·멕시코 등에 관세를 부과한다는 소식에 반등하는 등 불안정하다.
예금금리와 대출금리의 상반된 모습에 은행권은 '이자장사' 눈총을 받고 있다. 최근 일부 은행들이 가계대출이 폭증했던 지난해 7~8월 주담대에 적용한 가산금리를 소폭 낮췄으나 대출 규제가 쏟아지기 전인 지난해 6월 말 고정형 주담대 금리(3.07~4.33)와 비교하면 여전히 높다.
이런 현상이 지속되자 금융당국에서도 은행권의 적극적인 대출금리 인하를 요구했다. 김병환 금융위원장은 지난 22일 간담회에서 "작년에 기준금리를 두 차례 인하했음에도 가산금리 인하 속도나 폭이 충분히 반영되지 않은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도 지난 16일 금융상황점검회의에서 "가계·기업이 두 차례 금리 인하 효과를 체감할 수 있도록 대출금리 전달 경로와 가산금리 추이를 면밀히 점검하라"고 지시했다. 정치권에서도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이 은행 가산금리 손질 필요성을 언급했다.
이병권 기자 bk223@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