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피트 헤그세스 미 국방장관 후보자가 15일 미 상원 인사 청문회에서 의원들의 질의를 듣고 있다. /EPA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트럼프 2기 행정부의 피트 헤그세스 국방장관 후보자가 15일 미 상원 인사청문회에서 북한을 ‘핵 보유국(nuclear power)’라고 지칭한 것은 그가 북핵 관련 전문적인 지식이 없었기 때문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미 북한전문 매체 NK뉴스는 이날 벤자민 엥글 단국대 초빙교수의 발언을 이용해 “(미국의 북핵 문제에 대한) 접근 방식이 변화한 것을 확인하려면 트럼프 행정부가 이 용어를 반복해서 사용하는 것을 봐야만 할 것”이라며 “(북한이 핵 보유국이라는 표현은) 헤그세스의 경험 부족을 보여주는 것일 수도 있다”고 했다. 엥글 교수는 육군 소령 출신의 헤그세스가 폭스뉴스 진행자를 하다 국방장관에 지명된 점을 언급하며 “모든 것에 대해서 피상적인 지식만 가지면 됐고, 아마도 그 점이 지금 드러나고 있는 것 같다”고 했다.
헤그세스는 의회에 제출한 서면 답변서에서 북한을 ‘핵 보유국(nuclear power)’이라고 지칭했는데, 이는 완전한 북한 비핵화를 요구해왔던 미 정부가 그간 쓰지 않던 표현이라 일각에서 논란이 됐다. 핵확산금지조약(NPT)상 국제 사회가 인정하는 공식 핵 보유국은 미국, 러시아, 중국, 영국, 프랑스 5국인 상황에서 헤그세스의 발언이 의도적이었다면 트럼프 2기 행정부가 북한을 비공식 핵 보유국으로 인정해 주는 셈이나 마찬가지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헤그세스가 NPT 관련 깊지 않은 지식으로 ‘핵 보유국’이라는 표현을 섣불리 선택한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이날 헤그세스가 의회 청문회에 제출한 사전 서면 답변서는 전체가 75페이지 분량인데 해당 표현은 이중 딱 한번 나온다. 통상 청문 준비팀이 후보자를 대신해 서면 답변서를 작성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헤그세스가 해당 부분을 인지하지 못하고 있을 수도 있다는 분석도 있다.
헤그세스는 청문회에서 민주당 의원이 “‘동남아 국가연합(ASEAN)’의 회원국을 말해보라”고 질의하자 한국과 일본, 호주 등 엉뚱한 국가들을 거론하다 “그 나라들은 모두 아세안 국가가 아니다. 공부를 좀 하라”는 질책을 듣기도 했다.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