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1.08 (수)

국토부, 참사 엿새째에도 ‘콘크리트 둔덕’ 규정은 여전히 “검토 중”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겨레

제주항공 사고 블랙박스 장치 중 하나인 비행자료기록장치(FDR). 연결장치(커넥터)가 사라져 비행자료기록장치의 기록장치와 전원공급장치가 분리된 모습. 국토교통부는 오는 6일 이 장치를 미국 교통안전위원회(NTSB)에 보내기로 했다. 국토교통부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제주항공 참사 발생 엿새째인 3일에도 정부는 참사 피해를 키웠다고 지목되는 무안국제공항의 ‘콘크리트 둔덕’ 관련 규정과 관련해 여전히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혼선을 줄이기 위해서 종합적인 검토를 진행 중이라는 입장이지만, 공항 내 규정과 시설 승인과 관련해 책임 소지가 있는 당국에 대한 비판이 이어지자 고심을 이어가는 모양새다.



주종완 국토교통부 항공정책실장은 이날 제주항공 참사 관련 브리핑에서 “국토부가 (규정에 문제 없다는) 입장을 밝힌 이후 다른 국제기준이나 해석이 많이 제기됐다. 방대한 내용인 만큼, 집대성해서 종합적으로 답변을 드리는 쪽이 혼선 없겠다는 판단”이라며 “빠른 시간 내에 종합적으로 설명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참사 다음날인 지난해 12월30일 국토부는 “국내 법규로나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국제규정으로나, 로컬라이저(방위각제공시설)를 ‘부러지기 쉽게 장착해야 한다’는 규정은 없다”고 입장을 낸 바 있다. 로컬라이저가 활주로 끝으로부터 199m 거리인 종단안전구역 외부에 있어 부러지기 쉬워야 한다는 원칙이 해당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러나 로컬라이저 관련 국토부 설치기준 고시나 국제민간항공기구 권고 등에 저촉되는 내용이 발견되자, 하루 뒤인 31일 “사실관계를 확인하고 답을 내놓겠다”고 한발 물러선 바 있다.



국토부는 참사 발생 엿새째이자, 당시 브리핑으로부터 나흘째인 이날도 명확한 답변을 내지 않았다. 국토부는 “계속 전문가 의견을 듣고 있고, 많은 기준을 동시에 봐야되는 상황”이라고만 설명했다.



한편, 참사 원인을 규명할 핵심 열쇠인 블랙박스에 해당하는 비행자료기록장치(FDR)를 오는 6일 미국으로 옮겨져 분석될 예정이다. 당초 파손된 블랙박스를 미국에서 분석할 경우 상당한 시일이 걸릴 것으로 예상됐으나, 자료 추출이 원활히 된다면 분석 시기도 앞당겨질 전망이다.



국토부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사조위) 관계자는 한겨레에 “미국 쪽과 신속하게 분석을 하기로 협의가 되면서 6일 이동하게 됐다”면서도 “현지에서 에프디알 자료 추출이 가능할지, 어느 정도 데이터 복구가 될지는 현재 단언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조사팀은 전날 음성기록장치(CVR)에서 추출한 자료를 음성파일 형태로 전환하는작업을 마치고 현재 녹취록을 작성 중이다. 국토부는 “(녹취록) 작성 작업이 언제까지 끝날지 확답은 어렵지만 속도감 있게 진행하는 상황이다. 통상 수일 정도 걸린다”고 설명했다.



한미합동조사팀엔 엔진 제작사인 관련된 지이(GE) 에어로스페이스 관계자도 1명 추가됐다. 지이 에어로스페이스는 사고기인 보잉 737-800에 탑재된 항공 엔진을 제작한 미국·프랑스 합작회사 시에프엠아이(CFMI)의 미국 쪽 업체다. 한미합동조사팀 규모는 모두 23명으로 늘었고, 미국 쪽 인원이 11명이다.



박수지 기자 suji@hani.co.kr



▶▶한겨레는 함께 민주주의를 지키겠습니다 [한겨레후원]

▶▶실시간 뉴스, ‘한겨레 텔레그램 뉴스봇’과 함께!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