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28일 윤석열 대통령 지난 9월 국내 최초로 자연임신으로 출생한 다섯쌍둥이가 입원해 있는 서울성모병원을 방문해 아이에게 인사하고 있다. 대통령실 누리집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중증 산모와 신생아를 치료할 최상급(3차) 기관을 지정하는 정부의 ‘이른둥이 맞춤형 지원대책’이 지역 의사들을 흡수해 오히려 지역의 산모·신생아 의료기능을 약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정부는 지난달 28일 산모와 신생아를 진료하는 모자의료기관을 1·2·3차 센터로 체계화하고, 복합 중증 산모·태아, 신생아를 진료할 최상급(3차) 기관인 ‘중앙 중증 모자의료센터’(중앙중증센터)를 새롭게 지정하는 방안을 발표했다.
현재는 37주 미만 조산아 등 고위험 신생아를 치료하는 ‘신생아집중치료센터’와 고위험 산모·태아와 신생아를 함께 치료하는 ‘고위험 산모·신생아통합치료센터’가 각각 있는데, 이를 1차 지역센터(신생아센터)와 2차 권역센터(통합치료센터)로 단계화한다는 내용이다. 신생아센터는 산과 기능을 보강해 산모와 신생아 모두에게 1차 센터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중앙중증센터는 공모를 통해 두 곳을 새롭게 지정하기로 했다. 중증도 평가를 통해 고위험 산모를 미리 파악하고, 고위험·응급 분만을 대응할 수 있는 체계도 구축한다.
다만, 현장에선 중앙중증센터 신규 지정으로 지역의 인력을 빨아들일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개편·지원 방향은 좋지만, 이미 신생아센터와 산과 인력이 줄어든데다 의정갈등으로 전공의(인턴·레지던트)들이 사직한 상황에선 지역에 남은 최소한의 인원마저 더 큰 병원으로 빠져나갈 수 있다는 지적이다.
전북대병원 신생아집중치료센터에서 일하는 김진규 교수(소아청소년과)는 “원래는 이런 방향으로 가야하지만, 현 시점에선 부작용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면서 “(신생아) 전문의도 안 나오고, 전임의를 하려는 사람이 없다. 지역에선 한 두 사람만 빠져나가도 바로 무너진다”고 말했다.
지역·권역센터 역할을 신생아센터와 고위험 산모·신생아 통합치료센터 중에서도 이미 의료기능이 한계에 다다르거나 일부 역할을 다하지 못 하는 곳도 적지 않다. 34주 미만, 32주 미만 등 일정 주수 미만 산모는 받기 어렵다는 센터도 있고, 산과 없이 신생아센터만 운영하거나 교수 1명, 촉탁의 2명 등 3명이 일하면서 당직근무조차 쉽지 않은 센터도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한정열 일산백병원 교수(산부인과)는 “(정부가) 산과 기능을 강화한다해도 지금 있는 신생아집중치료센터도 제대로 운영을 못 하는 경우 현실적으로 어렵다”면서 “통합치료센터도 제대로 기능하지 못 하는 곳이 많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지역에 있는 병원들이 (상위 센터가) 인력을 흡수해가지 않을까 우려를 하고 있는데, 사업 모형을 단계적으로 진행하는 등 방법도 고려할 수 있다”고 말했다.
손지민 기자 sjm@hani.co.kr 천호성 기자 rieux@hani.co.kr
▶▶세상의 모든 책방, 한겨레에서 만나자 [세모책]
▶▶실시간 뉴스, ‘한겨레 텔레그램 뉴스봇’과 함께!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