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당국이 13일 러시아에 파병된 북한군이 쿠르스크주에서 우크라이나군과 전투를 시작했다고 공식 확인했다. 이날 국가정보원은 "러시아에 파병된 북한군이 지난 2주간 쿠르스크 지역으로 이동해 전장 배치를 완료했고, 이미 전투에 참여 중인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추가적인 관련 첩보와 정보를 수집해 분석 중"이라고 설명했다.
같은 날 AFP통신에 따르면 토니 블링컨 미 국무부 장관도 벨기에 브뤼셀의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본부에서 열린 북대서양이사회(NAC) 참석에 앞서 관련 사실을 공식화했다. 블링컨 장관은 "북한군이 전투에 투입됐고 말 그대로 전투 중"이라며 "이것은 분명한 대응을 요구한다"고 밝혔다.
정부 안팎에서는 북한군의 본격적인 전장 투입이 우크라이나 전쟁 조기 종전을 주장해온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대선 승리를 감안한 대응이라는 관측이 제기된다.
양욱 아산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트럼프 당선인이 취임한 이후 우크라이나에 대한 지원 규모를 계속 줄여나가면서 조기 종전을 유도할 가능성이 높다"고 관측했다. 양 연구위원은 "러시아도 전쟁이 일찍 끝날 것에 대비해 우크라이나에 빼앗긴 쿠르스크 지역을 북한군까지 동원해 되찾으려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우크라이나 역시 향후 종전 협상에서 유리한 위치를 차지하고 국제사회의 전후 재건 지원을 극대화하기 위해 러시아 영토인 쿠르스크주에 대한 공세에 나섰다고 해석했다.
이에 따라 우크라이나 지원에 대한 정부의 셈법도 복잡해졌다. 일단 정부는 곧 트럼프 당선인 측과 협의를 진행한 이후 우크라이나에 대한 추가 지원에 대해 윤곽을 잡을 것으로 보인다.
외교부 고위 당국자는 전날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과정에서 한미 사이에 조율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이달 14~21일 윤석열 대통령의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및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참석을 계기로 주요국들과 우크라이나 지원 문제를 논의할 것으로 예상된다. 윤 대통령이 귀국길에 미국에 들러 트럼프 당선인과 이 문제를 놓고 머리를 맞댈지도 주목된다.
다만 우크라이나에 참관단을 파견하는 것은 그대로 추진할 가능성이 높다. 북한군의 전술과 동태를 파악할 기회인 데다 포로나 탈영병에 대한 신문에 참여해 중요 정보를 수집하면 안보에 활용할 여지가 크기 때문이다.
한편 한국과 미국, 일본은 이날부터 사흘 동안 제주 남방 공해상에서 다영역 연합훈련인 '프리덤 에지' 2차 훈련에 들어갔다. 한·미·일은 이번에 △해상 미사일 방어 △대잠수함전 △방공전 △사이버 방어 등의 훈련을 통해 상호 운용성을 높인다. 훈련에는 미 항공모함인 조지워싱턴함을 중심으로 세 나라의 이지스급 구축함과 5세대 스텔스 전투기, 해상초계기 등이 투입된다.
[김성훈 기자 / 김상준 기자 / 최현재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