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중 디지털 이해도와 현금수요 간의 관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디지털 금융을 이용하기 어려운 소비자는 코로나19와 같이 비대면 결제방식이 강제되는 상황에서도 현금을 계속 이용하려는 성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금을 받지 않는 상점·서비스의 증가로 인한 불편함도 디지털 소외계층에 집중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국은행은 31일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중 디지털 이해도와 현금수요 간의 관계(Digital Literacy and Physical Cash Demand during the COVID-19 Pandemic)'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말했다.
이번 보고서는 2021년 한국은행 지급수단 및 모바일금융서비스 이용 행태조사에 이용된 마이크로데이터, 지역별 거리두기 단계자료, 지역별 금융기관 점포 및 ATM 분포자료를 결합하여 회귀분석했다.
분석결과 디지털 이해도가 낮은 소비자는 코로나19와 같이 비대면 결제방식이 강제되는 상황에서 현금을 계속 이용하려는 성향이 강했다
팬데믹 기간, 디지털 이해도가 낮은 소비자가 휴대하는 현금을 줄일 확률은 16%에 불과했다. 디지털 이해도가 높은 소비자가 휴대 현금을 줄일 확률이 26%인것과 비교하면 10%포인트(p) 낮은 수준이다.
모바일 금융서비스를 이용할 가능성도 낮았다.디지털 이해도가 낮은 소비자가 모바일금융서비스를 이용할 확률은 32%로 디지털 이해도가 높은 소비자(46%)에 비해 12%p 낮았다.
특히 사회적거리두기 4단계가 시행된 지역의 경우 모바일금융서비스이용을 늘릴 확률은 디지털 이해도가 낮은 소비자는 37%, 이해도가 높은 소비자는 51%로 나타났다. 디지털 이해도가 낮은 소비자는 비대면 결제방식이 확대되면 확대될수록 모바일금융서비스를 이용하려는 비중이 더욱 낮아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이에 따라 한국은행은 현금 결제를 받지 않는 상점·서비스의 등장으로 피해를 볼 수 있는 소비자는 디지털 이해도가 낮은 소비자가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특히 여타 연령층에 비해 현금 의존도가 높고 디지털 이해도가 낮은 고령층의 소비자의 금융이용이 줄어들 수 있다는 설명이다.
한은 관계자는 "단기적으로는 현금결제 수용성을 높이는 정책방향을 마련해야 한다"며 "중장기적으로는 새로운 지급결제수단 도입시 디지털 소외계층도 손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정책적 고려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