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월19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양국 협력 관련 문서에 서명한 뒤 악수를 하고 있다. AP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가짜 뉴스로 보인다.”
드미트리 페스코프 러시아 대통령궁(크렘린) 대변인은 지난 10일 북한군이 우크라이나 전쟁에 참전하기 위해 파병된다는 설과 관련한 질문이 나오자 “그건 또 다른 가짜 뉴스로 보인다”고 말했다. 당시 키이우포스트 등 우크라이나 언론에서 러시아가 점령 중인 우크라이나 동부 도네츠크 인근에서 우크라이나 미사일 공격으로 북한군 장교가 숨졌다는 등 북한군 파병설을 보도하고 있었다.
그러나 지난 13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직접 나서 북한군 파병설을 주장하고 나선 뒤부터 이에 대해 명확한 부정을 하지는 않기 시작했다.
마리야 자하로바 러시아 외교부 대변인은 지난 16일 브리핑에서 북한군 파병설에 대해 “‘특별군사작전’(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전쟁) 참가자 구성은 국방부가 확인해줄 일”이라며 대답을 피했다. 같은 날 젤렌스키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의회에서 북한이 러시아에 무기뿐 아니라 인력도 공급하는 사실을 자국 정보기관을 통해 확인했다고 말한 것과 관련한 발언이었다.
자하로바 대변인은 당시 “그들(우크라이나 정권)은 언급해야 할 것을 언급하는 게 좋을 것”이라며 우크라이나 부차에서 러시아군이 민간인을 학살했다는 주장의 근거를 제시하라고 촉구했다. 러시아는 부차 학살이 허위라며 부정하고 있는데, 젤렌스키 대통령의 주장을 직접 부정하지 않고 화제를 돌린 것이다.
그리고 우리 정부가 북한군 러시아 파병에 대해 주한 러시아대사를 초치해 항의한 21일 페스코프 크렘린 대변인은 북한군 파병설을 부정하지 않고 “모순된 정보가 있다. 그렇게 취급하는 게 좋겠다”며 명확한 긍정도 부정도 하지 않았다. 그리고 “평양(북한)과 관계를 발전시키는 것은 우리의 주권적 권리”라는 주장을 펼쳤다.
러시아는 최근 전쟁 상태 때 지체 없는 군사 지원을 약속한 북한과의 ‘포괄적인 전략적 동반자 관계 조약’(북-러 조약) 비준 절차에 들어갔다. 이 조약은 유사시 자동 군사개입 조항이 포함된 1961년 조-소 우호협조 및 상호원조조약(조-소 동맹조약)과 근접한 내용을 담아, 북-러 군사동맹이 복원됐다는 평가를 받았다.
조기원 기자 garden@hani.co.kr
▶▶권력에 타협하지 않는 언론, 한겨레 [후원하기]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