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11월21일 오전 경기도 이천시 육군항공작전사령부에서 열린 항공작전사령관 이취임식에서 신임 강선영 사령관이 경례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군 장성 출신인 국민의힘 강선영 의원(비례대표)이 16일 ‘강 의원과 보좌진이 수해 중 피감기관인 군 골프장에서 골프를 쳤다’는 의혹 보도에 대해 “군이 언론플레이를 통해 국정감사에 압력을 행사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강 의원은 이날 오후 국민의힘 국정감사 대책회의에서 “이번 국감을 준비하며 육군 내부적으로 체력단련장을 포함한 복지시설 운영에 여러 가지 문제를 확인했다. 피감기관의 조직적 저항이라고 생각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앞서 이날 제이티비시(JTBC)는 태풍이 접근하던 지난달 21일 강 의원과 보좌진들이 육군 운영 골프장을 방문해 협박성 발언을 했다는 보도를 예고했다. 제이티비시 보도를 보면, 당일 오전 갑자기 비가 많이 내리자 골프장 쪽에서 정상적 경기가 어렵다고 보고 경기를 중단시켰다고 한다. 이에 강 의원과 보좌진이 “비가 그칠 때까지 기다리면 되지 않느냐” “다른 손님들은 왜 받느냐” “비 맞으면서 전투적으로 치겠다는데 왜 중단시키느냐”며 항의했다고 한다.
강 의원은 이런 내용을 예고하는 보도가 나오자 페이스북에 “그렇게 비가 많이 왔다면 골프장을 폐쇄했어야 하지 않을까요? 잠시 비가 많이 내리면 그냥 중지시키는 게 옳은 걸까요?”라는 글을 올렸다.
강 의원은 이어 국감 대책회의 발언을 통해 정상적인 국정감사 수행을 군에서 언론플레이를 통해 음해하고 있다는 주장을 폈다. 강 의원의 설명은 이렇다.
국감을 준비하던 의원실에서 육군 체력단련장(골프장) 등 복지시설 운영에 여러 문제를 확인했다. 이에 육군본부 감찰실에 체력단련장 운영 문제에 대한 감사를 요구했는데, 오히려 골프장 운영 부서원으로 추정되는 인원이 육본 감찰실을 군사경찰에 고발했다고 한다. 이에 강 의원실은 육군의 위신과 신뢰가 떨어질 것을 우려해 체력단련장 담당 부서를 대상으로 ‘대면보고’를 진행했다고 한다. 군 장성 출신 의원으로서 군 내부 문제를 들추기보다 군 내부적으로 해결해 나가길 바랐다는 취지다.
강 의원은 이후 “의원실에 대한 비난과 음해성 유언비어가 군내에 확산했다”고 주장했다. 이에 국방부 감사 중 육군 인사사령부를 대상으로 기관감사를 요청했는데, 이후 대면보고 당시 대화가 녹취돼 언론에 제보됐다는 것이다.
강 의원은 특히 “의원실에서 육군 체력단련장 운영실태를 점검하기 위해 모 체력단련장을 방문해 서비스 불만족 사항을 제기한 내용까지 언론에 제보했다”고 주장했다. 강 의원실이 골프장 운영실태를 점검하기 위해 직접 골프를 치는 도중에 서비스 불만을 제기했는데, 강 의원의 기관감사 요청 등에 불만을 품은 이들이 정당한 의원 활동을 악의적으로 포장해 제보했다는 주장이다.
강 의원은 “대화가 녹취돼 언론에 제보됐다”며 이는 국회법·개인정보보호법·국인복무기본법 위반이라는 주장을 폈다. “국회의 정상적 국정감사에 대해 언론을 통해 압력을 행사하는 것이 육군의 조직적 행위라면, 이는 국회법을 위반하고 국회를 정면으로 모독하는 것이다. 개인의 일탈 행위라면 군 지휘체계를 문란케 하고, 업무상 알게 된 개인정보를 누설한 개인정보보호법 위반이다. 국방부 장관 승인 없이 군사에 관한 사항을 군 외부에 제공해 군인복무기본법을 위반”이라는 것이다.
강 의원은 “피감기관의 조직적 저항으로 생각한다. 국정감사에서 면밀히 확인하고 법적 대응책 등을 강구하겠다”고 했다.
강 의원은 지난달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정치·경제·복지·평화혁명이 러시아 혁명가
레닌의 주장과 유사하다고 주장하며 색깔론을 편 바 있다. 문재인 정부 때 준장에 이어 여성 최초 소장으로 진급했다. 2021년 예편했고 지난 4·10 총선 때 국민의힘 위성정당인 국민의미래 비례대표로 공천됐다. 강 의원은 총선을 앞두고 민주당을 겨냥해 “북한 주장에 동조하는 이들이 국회에 입성하면 안 된다”는 주장을 펴기도 했다.
김남일 기자 namfic@hani.co.kr
▶▶권력에 타협하지 않는 언론, 한겨레 [후원하기]
▶▶행운을 높이는 오늘의 운세, 타로, 메뉴 추천 [확인하기]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