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21 (토)

[기고] ‘AI 한미동맹’으로 국민통합도 이룰 수 있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6·25 직후 한국의 군사 기술 개발은 백 퍼센트 대미 종속으로 시작했고 무기는 철저히 나토 무기 체계를 준용했다. 그러나 세월이 지난 지금 한국은 방위 산업 제품을 나토에 수출하는 국가로 바뀌었다. 한국의 AI 산업에 필요한 것은 이 역사를 기억하는 정책적 유연성이다.

AI 분야에서 한국과 미국은 공동의 이해관계를 가진 동맹이다. 이 동맹은 국가 행위자에 의한 초지능(AGI)의 악용, 즉 중국 공산당이 인공지능 경쟁에서 승리하여 ‘1984′ 같은 오웰적 전체주의로 인류를 위협하는 상황을 막아야 한다는 공감대를 가지고 있다.

현재 동맹의 한 축인 미국은 투자의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 AI 혁명이 요구하는 컴퓨팅의 규모가 너무 빠르게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레오폴드 아센브레너(2024)에 따르면 시장의 인공지능 서비스 수요를 맞추려면 2027년까지 최소 1조달러 규모의 투자가 필요하다고 한다. 이것은 미국 혼자 결코 달성할 수 없는 목표다.

최근 오픈AI는 한국, 일본, 싱가포르 등에 5GW 규모의 데이터센터를 함께 구축하자고 제안했다.(조선일보 24년 10월 7일 자) 우리는 이 제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한국은 저출생과 수도권 일극화, 내수 침체, 공급망 불안, 가계 부채 위기 등 여러 가지 구조적인 문제를 안고 있다. 이런 문제들을 해결할 방법은 생산성의 비약적 증가뿐이다.

생산성은 노동과 자본이라는 두 요소의 투입으로 향상된다. AI 혁명은 ‘지적 노동의 무제한 투입’과 ‘인공지능 기술 자본의 배타적 투입’으로 생산성을 완전히 다른 차원으로 재고시킬 것이다.

한국의 대학은 인공지능 분야에서 기업에 종속적 위치에 있다. 대학은 기업의 컴퓨팅 리소스와 데이터를 따라갈 방법이 없으므로 원천 기술을 연구할 기회 자체가 없다.

한편 한국의 AI 기업들은 미국, 중국의 빅테크 기업들과 경쟁할 능력이 없다. 네이버가 하이퍼클로바 X를, LG가 엑사원 3.0을 만들었으나 인공지능 성능을 평가하는 벤치마크 리더보드에 성능을 공개하지 못하는 수준이다. 행정 지원 AI 서비스 ‘챗경북’을 3년간 운영하면서 필자는 국내 기업에서는 고품질의 파운데이션 모델이 나올 수 없다는 확신을 갖게 되었다.

그러나 반전이 가능하다. 그것은 AI 한미 동맹을 통해 미송출 전력이 많은 지방에 유의미한 규모의 국가 AI 컴퓨팅 센터를 만드는 것이다. 국가의 최고위 리더십이 국가 대 국가의 협상으로 주한 미군 분담금 수준의 대가를 지급하여 최고 품질의 인공지능을 들여오고 그 데이터를 국내에서 처리하여 보안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대학은 선도적인 연구를 할 수 있고 기업은 외국에 수출하는 AI 교과서 등 다양한 서비스를 생산할 수 있다.

미국 기술을 쓰더라도 사업을 많이 하면서 개발하면 방산에서와 같은 역전이 가능하다. 테슬라가 나타나 자율주행차와 로봇의 산업적 효용을 증명했듯이 한국에는 초거대 규모 인공지능의 효용을 증명할 새로운 사업들이 필요하다. 그런데 AI 분야에서 이런 실험적 사업들은 ‘지방 소멸 극복’의 명분을 가진 지방정부가 일자리 창출의 공공사업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오늘날 한국에서 일어나는 수많은 사회 갈등의 저변에는 수도권과 지방의 분열, 부자와 빈자의 분열이라는 심각한 대립이 있다. AI 한미 동맹을 통해 확보될 최고 품질의 인공지능과 지방에 건립되는 AI 컴퓨팅 센터, 그리고 지방정부의 AI 공공사업들이야말로 새 시대의 지능화 기반 국민 통합이 될 것이다.

매일 조선일보에 실린 칼럼 5개가 담긴 뉴스레터를 받아보세요. 세상에 대한 통찰을 얻을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 ☞ 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91170

[유철균 경북연구원장]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