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31 (화)

이슈 인공지능 시대가 열린다

“AI가 내 업무 위협” 한국인 불안도 10개국 중 최상위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겨레

게티이미지뱅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생성형 인공지능(AI) 등 신기술의 영향으로 자신의 업무가 위협받을 수 있다는 한국인의 불안감이 주요 10개국 가운데 두번째로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면서도 한국인은 인공지능 기술 활용에 다른 나라 시민보다 긍정적이고, 생성형 인공지능 개발을 감시·규제할 필요성은 크게 느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일 정세정·신영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부연구위원이 한국과 미국, 유럽 등 10개국 시민을 설문조사한 자료(SCOaPP-10)를 분석한 보고서(‘디지털전환과 인공지능 기술에 관한 인식과 태도에 대한 10개국 비교’)를 보면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한국인의 양가적인 인식과 태도가 엿보인다.



한국은 ‘신기술 등장으로 자신의 업무가 위협받을 가능성이 있느냐’는 질문에 “매우 동의하거나 동의한다”는 응답(35.4%)이 이탈리아(39.1%) 다음으로 가장 많았다. 영국(28.3%)은 물론 스웨덴(20.1%)·덴마크(18.3%)에 견줘 월등히 높았다. 신기술 확산에 따라 일자리를 잃을 수 있는 등 한국인의 고용 불안감이 다른 나라보다 크다는 뜻이다. 이외에도 본인의 디지털 기술 숙련도 수준을 묻는 질문에 대한 한국인의 답변은 다른 나라에 견줘 낮은 편에 속했다.



반면 한국인은 인공지능 기술 활용에 대해선 호의적인 반응을 보였다. ‘노년기 동반자 역할 인공지능 로봇 기술’(64.2%, 긍정 답변율), ‘세금·사회보장급여 계산을 위한 인공지능 기술’(63.8%), ‘질병 진단을 위한 인공지능 기술’(58.7%)의 이용 의향을 묻는 질문에 긍정 답변율이 10개국 중 가장 높았다. 같은 질문에 대해 핀란드·덴마크 등 북유럽 국가에선 부정 답변이 더 많았다.



한겨레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규제에 대해선 소극적인 입장을 보였다. 인공지능 기술의 오남용을 막기 위해 ‘독립적인 기관이 생성형 인공지능 개발을 감시·규제할 필요성이 있느냐’는 물음에 한국은 58.7%만 “매우 동의하거나 동의한다”고 답했다. 10개국 가운데 이탈리아에 이어 두번째로 낮은 수치다. ‘노동자를 대체하는 신기술이 기업의 수익을 높이는 경우 규제해야 하는가’란 질문에도 한국은 32.9%가 “규제하지 않거나 최소한의 규제”를 주장했다. 10개국 중 가장 규제에 부정적인 응답률이다.



인공지능 기술의 토대가 되는 데이터 활용 기관에 대한 신뢰도 조사도 눈길을 끈다. ‘개인 데이터를 책임감 있게 사용할 것으로 신뢰하는 기관’(중복응답)을 묻는 질문에 한국은 41.6%만이 “중앙정부를 신뢰한다”고 답했다. 조사 대상 국가 중 이탈리아 다음으로 가장 낮다. 같은 질문에서 핀란드와 노르웨이는 각각 73.2%와 65.1%가 중앙정부를 신뢰한다고 했다.



연구진은 “한국인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기술에 대한 자신들의 숙련도를 과소평가하면서도 디지털 기술에 대한 무비판적인 수용이나 지나친 몰입 성향을 보이는 것으로 판단된다”며 “이는 과도한 역량 제고 노력이나 경쟁으로 이어져 자칫 사회적 비용이나 갈등이 확대되고 사회통합 저하와 같은 부작용으로 나타날 수 있다”고 말했다.



선담은 기자 sun@hani.co.kr



▶▶권력에 타협하지 않는 언론, 한겨레 [후원하기]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

▶▶행운을 높이는 오늘의 운세, 타로, 메뉴 추천 [확인하기]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