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11 (월)

‘대선공약 백신’ 대상포진·HPV 접종 지원 확대, 없던 일 되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대상포진 14만 원, HPV는 70만 원 달해…해외에서는 NIP 확대 추세

이투데이

GSK의 대상포진 백신 싱그릭스(왼쪽)와 MSD의 HPV 예방 백신 가다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이 약속한 국가예방접종(NIP) 지원 확대가 실현되기까지 갈 길이 멀어 보인다. 질병관리청의 NIP 관련 예산이 오히려 쪼그라들면서 내년도 대상포진 백신과 남아 대상 사람유두종바이러스(HPV) 백신 지원은 사실상 불가능해진 실정이다. NIP 진입을 고대했던 백신 업계의 기대감도 사그라들었다.

21일 제약·바이오업계에 따르면 대상포진 백신과 HPV 백신 NIP 진입 및 확대 시점은 기약이 없는 상황이다. NIP 사업에 포함되면 백신 접종 비용 일체를 국가가 지원하며, 혜택 대상자는 보건소나 병·의원에 방문해 무료로 접종할 수 있다. 접종에 활용되는 백신은 대부분 질병관리청이 조달청을 통해 경쟁입찰을 붙여 시중 가격보다 염가에 대량 구매한다. 이 때문에 기업들에 NIP는 이윤 면에서는 아쉽지만, 안정적인 대량공급처와 접근성을 확보할 수 있어 선호되는 시장이다.

윤 대통령은 대선 후보 시절 당시 공약으로 65세 이상 어르신에게 대상포진 백신을 무료로 접종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아울러 기존에 무료접종 대상에 포함되지 않았던 남성 청소년에게도 혜택을 준다는 공약도 제시한 바 있다. 국민의 경제적 부담을 완화해 백신 접근성을 강화한다는 취지였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국내 대상포진 환자 수는 2022년 71만2035명에서 지난해 75만7539명으로 6.4% 증가했다. 올해는 7월 말 기준 44만1815명에 달해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여, 적극적인 예방 대책이 필요한 질환으로 꼽히고 있다. HPV는 여성에서는 자궁경부암, 남성에서는 두경부암 등을 유발할 수 있는 성매개 감염병으로, 정부가 법정 4급 감염병으로 지정·관리하고 있다.

현재 대상포진 백신은 NIP 사업에 포함되지 않아, 접종자가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비급여진료비 정보에 따르면 서울시 내 병·의원 기준 접종 비용은 백신 종류에 따라 14만 원에서 25만 원이다.

HPV 백신은 12~17세 여성 청소년과 18~26세 저소득층 여성만 HPV 2가와 4가 백신으로 지원된다. 지원 대상이 아닌 여성과 남성, 지원 대상이라도 9가 백신을 접종하기를 원하는 이들은 비용을 본인이 부담해야 한다. 이럴 경우 한 번 접종할 때마다 2가 백신은 9~12만 원, 4가 백신은 15~18만 원, 9가 백신은 20~25만 원 가량을 지불해야 한다. HPV 백신은 2~3회 접종해야 예방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접종 스케줄을 모두 소화하면 60~70만 원이 소요된다.

NIP 사업에 포함되는 백신과 지원 대상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예산 증액이 불가피하다. 하지만 관련 예산은 축소돼, 윤 대통령의 공약은 내년에도 현실화하기 어려워졌다. 질병청의 2025년도 예산안의 국가예방접종 실시 예산은 6018억 원으로, 올해 예산 8010억 원보다 1992억 원 감소했다. 질병청의 내년도 전체 예산안 역시 지난해 1조6303억 원 대비 22.1% 축소된 1조2698억 원으로 책정돼 감소 기조다.

그간 글락소스미스클라인(GSK), SK바이오사이언스, MSD 등 대상포진 백신과 HPV 백신을 보유한 기업들은 지속적으로 NIP 진입 확대를 고대했지만, 올해도 사실상 성과를 보기는 어려워졌다. 다만 선진국을 중심으로 NIP를 확대하는 국제적 추세를 없는 만큼, 국내에서도 향후 대상포진 및 HPV 백신에 대한 지원이 강화될 수 있다는 기대도 나온다. 영국에서는 일찍이 2013년 대상포진백신이 국가지원 프로그램에 포함됐으며, 아시아·오세아니아 생식기 감염 및 종양학회(AOGIN)는 HPV 백신을 남성과 여성 모두에게 접종해야 한다고 권장하고 있다.

백신 업계 관계자는 “정부 예산이 한정적이기 때문에 지원범위 확대 결정이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한다”라면서도 “오랜 기간 국내외 의료계와 학계에서 효과와 안전성이 충분히 입증된 백신들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검토가 이뤄질 것으로 본다”라고 말했다.

[이투데이/한성주 기자 (hsj@etoday.co.kr)]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이투데이(www.etoday.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