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9.18 (수)

올 추석 ‘벌 쏘임’ ‘뱀 물림’ 조심하세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벌 쏘이면 쇼크 위험···병원 찾아야

뱀 물린 상처 너무 꽉 묶으면 괴사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가을이 되면 추석을 앞두고 가족, 친지들과 벌초를 하거나 성묘를 위해 산을 찾는다. 이때 반드시 조심해야 할 것이 벌 쏘임이다. 벌초 과정에서 미처 벌집을 보지 못하고 건드리는 경우 순식간에 벌떼로부터 공격을 받게 된다. 벌에 쏘였을 때 증상은 벌의 종류와 쏘인 횟수 그리고 개인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말벌이 아닌 일반 벌은 보통 쏘인 부위에 통증, 붓기, 가려움 등의 반응이 나타나지만 대부분 1~2일이면 증상이 사라지게 된다.

문제는 알러지 반응이다. 벌독에 알러지가 있는 사람은 일반 벌에 쏘이더라도 위험한 상황이 올 수 있다. 피부가 창백해지고 땀이 나고 두드러기·설사가 생기거나 호흡곤란과 혀·목에 붓기가 나타날 수 있다. 이런 증상을 아나필락시스 쇼크라고 하며 심한 경우 1시간 이내에 사망할 수도 있다.

소방청 집계에 따르면 올해 이달 3일까지 벌에 쏘여 목숨을 잃은 사람은 12명으로 나타났다. 2020년 이후 벌 쏘임 사고에 따른 연간 사망자는 2020년 7명, 2021년 11명, 2022년 11명, 2023년 11명이었다. 최근 4년 동안 연간 사망자보다 더 많은 사람이 벌에 쏘여 목숨을 잃은 것이다. 벌 쏘임 사고가 가장 많은 달은 8, 9월로 전체의 약 30%가 이때 발생했다. 추석을 앞두고 벌초를 하거나 성묘를 할 때 특히 주의해야 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양희범 의정부을지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교수 “평소에 벌독에 대한 알러지가 있는지 알고 있는 사람은 없기 때문에 벌에 쏘였다면 별다른 증상이 없더라도 과민성 쇼크에 대한 대비 차원에서 꼭 병원 응급실을 찾아 진료를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산을 찾는 만큼 뱀물림 사고도 조심해야한다. 뱀에 물리면 대개 알고 있는 응급처치 방법은 독이 전신에 퍼지는 것을 막기 위해 끈이나 수건, 등으로 상처 부위 주변을 묶는 것이다. 응급실을 찾는 환자들 중 상처 위와 아래 부위를 풀기 어려울 정도로 겹겹이 꽉 묶거나 심지어는 케이블타이 또는 가는 철사로 감아서 오는 경우도 있다.

이와 관련해 양 교수는 “상처 주변 부위를 너무 꽉 묶을 경우 오히려 혈액 순환을 방해해 심한 부종이 생길 수 있어 압력이 강한 가는 철사나 케이블타이 등을 이용할 경우 혈액의 흐름을 막아 상처 아랫부위가 괴사될 수도 있어 초기 응급처치 방법이 매우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양 교수는 “물린 부위 5~10㎝ 윗 부분을 끈이나 수건 등을 이용해 손가락이 들어갈 정도로 여유있게 묶고 미지근한 물로 닦아낸 뒤 물린 부위를 심장보다 낮게 유지한 상태로 절대 뛰지 말고 가까운 병원에 가서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물린 부위 주변을 묶는 건 지혈이 목적이 아니라 동맥피는 일정량 흐르게 하면서 정맥피가 되돌아가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 심장이 빨리 뛰면 독이 더 빠르게 퍼질 위험이 크다.

한민구 기자 1min9@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