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9.09 (월)

[혁신 사라진 카카오]③돈 되는 건 가리지 않는 IT기업…연결 회사 173곳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1분기 기준 연결 종속회사 2곳 ↓

동종업계 네이버 93사와 격차

"자회사 수가 경영 전략 비출 수 있어"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카카오는 수많은 자회사를 거느리고 골목상권에까지 침투하면서 사회적 문제로까지 번졌다. 카카오가 '문어발식 확장 기업'이라는 오명을 얻게 된 이유는 혁신의 성과가 제대로 나타나지 않았다는 지적 때문이다. 창업자 김범수 CA협의체 공동의장 겸 경영쇄신위원장이 SM엔터테인먼트(에스엠) 주가 시세 조종 혐의로 구속된 것도 결국 무리한 기업 확장의 결과로 분석되고 있다.

31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기준으로 카카오는 연결 대상 종속회사의 수가 지난해 말보다 2곳 줄어든 173개로 집계됐다. 2022년 12월 31일에는 142개의 연결 종속회사를 기록했으나, 2023년 중 에스엠, 키이스트 등 엔터테인먼트 분야 기업들을 지배력하에 두면서 종속회사 수가 170개를 넘어섰다. 현재 173개 종속회사 중 상장사는 7곳, 비상장사는 166곳으로 확인됐다. 동종 업계인 네이버는 1분기 기준으로 93개의 종속회사를 보유하고 있어, 카카오와는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이와 같은 종속회사 현황은 카카오의 확장 비즈니스 전략을 보여준다. 지배기업이 지분을 50% 초과 보유하거나 실질적으로 지배력을 행사하고 있는 경우, 해당 기업은 연결 대상 종속회사가 된다. 카카오는 2010년부터 서비스 중인 국민 메신저 카카오톡의 성공을 바탕으로 다양한 분야로의 확장을 시도해왔다. 간편 결제, 택시 호출, 쇼핑, 골프, 대리운전, 운수 등 여러 영역으로 사업을 넓혀왔다. 지난해에는 에스엠 인수를 통해 엔터테인먼트 분야로도 진출했으며, 1분기 기준으로 종속회사 중 주요 사업이 '연예인 매니지먼트'인 기업이 11곳에 달한다.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전략은 신산업 진출이 아니라 오히려 '안전한 길'을 택했다는 평가도 있다. IT 기업이 플랫폼의 영향력을 이용해 골목 상권을 침해한다는 비판이 쏟아졌다. 카카오가 플랫폼 고객 확보 후 수익을 증가시키기 위해 수수료를 인상하는 경우 소상공인이 피해를 볼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된 것이다. 이에 따라 2021년 김 위원장은 골목상권 침해 사업에서 철수하겠다고 밝히고, 자회사 정리도 진행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소상공인 영역에 침범할 우려가 있는 꽃배달 사업을 접고, 200억원 상당의 카카오헤어샵 지분 38.92%를 전량 처분했다.

카카오는 현재도 몸집 줄이기를 계속하고 있다. 기업 총수나 법인 등 기업을 지배하는 동일인과 특수관계인이 지분 30% 이상을 소유하거나 경영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계열사 수는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공정거래위원회에 따르면 카카오의 계열사는 지난해 4월 147개였으나 현재는 124개로 줄어들었다. 그러나 연결 대상 자회사의 수를 줄이기 위해서는 지분을 50% 이하로 낮추거나 지배력을 포기해야 하기 때문에 계열사 줄이기보다 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정도진 중앙대 경영학부 교수는 "자회사의 수가 그 기업에 경영 전략이나 조직 문화를 비춰주는 객관적인 가늠자가 될 수 있다"며 "연결 대상 종속회사와 계열사에 적용되는 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비교가 어렵긴 하지만 보통 연결 대상 종속회사를 줄이는 것에 조금 더 시일이 걸린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카카오가 질적 성장으로 전략을 수정을 하는 한편, 혁신에 대한 재정의가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정 교수는 "스스로는 여러 분야로의 확장을 곧 혁신이라고 여겼을 수 있다"며 "하지만 카카오가 생각하는 혁신이 무엇인지 이해관계자에게 정확히 전달되지 않았다는 것에서 비판이 시작되기 때문에 개선을 위해선 목표를 충분히 전달하고 공감을 얻는 것이 우선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정윤 기자 leejuyo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