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9.17 (화)

이슈 일본 신임 총리 기시다 후미오

[글로벌 포커스]'포스트 기시다' 누구? 日자민당 총재 선거 각축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예상 후보만 11명…역대 최다

이시바vs고이즈미 구도 유력

'파벌 해체' 쇄신 보여줘야…40대·여성 눈길

오는 27일로 예정된 일본 집권 자민당 총재 선거에 역대 최다 후보인 11명이 출마를 앞두고 있다. 오는 12일부터 선거 운동이 공식 시작되는 가운데 파벌 해체 여파로 차기 총리를 노리는 유력 정치인들의 각축전이 벌어질 예정이다.

의원내각제인 일본은 다수당 총재가 총리로 국정을 이끈다. 자민당은 다수당으로 자민당 총재가 되면 자동으로 일본 총리 자리에 앉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기시다 후미오 총리가 지난달 14일 불출마를 선언한 가운데 차기 일본 권력 구도가 결정된다. 여기에 '파벌 해체' 이후 첫 선거라는 점도 주목할만한 점이다. 비자금 스캔들로 당내 파벌을 해체해 강력한 지지를 등에 업은 후보가 없어 혼전이 벌어질 전망이다.
아시아경제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자민당 전당대회 연설을 하고 있다. 기시다 총리는 지난달 14일 자민당 총재 선거 불출마를 선언했다. [이미지출처=로이터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출마 예상 후보만 11명…입후보도 어려워
자민당 총재 선거는 자민당 소속 의원이 1인 1표씩 367표를 가지며, 당원(당비 납부 일본 국적자)과 당우(자민당 후원 정치단체 회원)를 합쳐 367표씩 투표권을 갖는다. 총 734표다. 1차 투표에서 과반수를 득표하면 당선된다. 다만 이번 선거는 출마 예상 후보가 10명이 넘어 1차 투표에서 과반 득표가 어려울 전망이다. 6일까지 6명이 출마 의사를 표명했는데 1972년 현행 자민당 총재 입후보 제도가 도입된 이후 가장 많다. 과반수 득표 후보가 없으면 상위 1, 2위 후보를 대상으로 한 결선 투표를 치른다. 과거 결선 투표에서 2위 후보가 당선되는 '역전극'을 펼친 적이 두 차례 있어서 끝까지 안심할 수 없다.

이번 총재 선거는 당선에 앞서 입후보부터 쉽지 않다. 입후보하려면 자민당 국회의원 20명의 추천을 받아야 하기 때문이다. 출마 의향을 밝힌 이들이 많다 보니 20명을 확보하기도 어려운데 이번 선거의 핵심 쟁점이 '파벌 해체'인 만큼 머릿수 채우기에만 급급해서는 안 된다.

마이니치신문은 "단순히 추천인을 모으는 것뿐만 아니라, 파벌, 연령대, 성별, 그리고 중·참의원 간의 균형을 맞추는 데도 신경을 쓰고 있다"며 "당내에서 폭넓은 지지를 얻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척도가 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닛케이는 "입후보에 필요한 추천인 20명 쟁탈전이 벌어질 것"이라며 "추천인을 모으지 못해 출마를 단념하는 후보가 나올 수도 있다"고 밝혔다.
아시아경제

이시바 시게루 전 자민당 간사장 [이미지출처=로이터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4전 5기' 이시바vs'펀쿨섹좌' 고이즈미
현재 여론조사에서는 이시바 시게루 전 자민당 간사장과 고이즈미 준이치로 전 총리의 차남인 고이즈미 신지로 전 환경상이 1, 2위를 다투고 있다. 아사히신문이 지난달 24∼25일 전국 18세 이상 1058명을 대상으로 전화 설문한 결과, 이시바 전 간사장과 고이즈미 전 환경상이 각각 지지율 21%로 공동 1위에 올랐다.

마이니치신문이 지난달 24∼25일 950명을 상대로 실시한 조사에서는 이시바 전 간사장(29%)과 고이즈미 전 환경상(16%)이 각각 1위와 2위로 나타났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이 TV도쿄와 지난 21~22일 595명을 상대로 실시한 여론조사에서는 고이즈미 전 환경상이 23%로 1위, 이시바 전 간사장은 18%로 2위였다.

이시바 전 간사장은 이번이 다섯 번째 자민당 총재 후보 출마다. 2008년부터 2020년까지 네 차례 도전했으나 고배를 마셨다. 1986년 29세의 나이로 최연소 중의원에 당선된 12선 의원이다. 방위청 장관, 농림수산상 등을 역임했다. 역사 인식에 있어서는 보수 우익 성향이 짙은 다른 의원들과 달리 비둘기파라는 평가다. 약점은 당내 기반이 약하다. 선거에서 절반이 국회의원 표인 만큼 의원 지지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고이즈미 전 환경상은 43세 '젊은 피'에 준수한 외모로 비자금 스캔들 여파를 겪고 있는 자민당의 이미지를 쇄신할 수 있다는 기대감을 모은다. 2007년 아버지 고이즈미 준이치로 전 총리의 비서로 일하며 정계에 입문해 2009년 아버지의 지역구 가나가와현11구를 물려받아 당선됐다. 현재 5선 의원으로 아베 신조 전 총리 시절인 2019년 38세의 나이로 2년간 환경상을 맡았다.

다만 경험 부족이 약점으로 꼽힌다. 각료 경험이 한차례에 불과한데다 2019년 환경상 시절 "기후 변화 같은 문제는 즐겁고(fun) 멋지고(cool), 섹시(sexy)하게 대응해야 한다"는 황당한 발언을 해 논란이 됐다. 한국에도 '펀쿨섹좌'라는 밈으로 잘 알려져 있다. 야스쿠니 신사 참배 논란도 있다.
아시아경제

고이즈미 신지로 전 환경상 [이미지출처=로이터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고노 다로 디지털상은 2009년, 2021년에 이어 세 번째 총재직에 도전한다. 직전인 2021년 선거에서는 결선 투표에서 기시다 후미오 총리에 밀렸다. 자민당 내 주요 파벌인 '아소파' 수장이다. 1993년 일본군의 위안부 강제 동원을 처음으로 인정하고 '고노 담화'를 발표한 고노 요헤이 전 관방장관의 장남이다.

하야시 요시마사 관방장관은 2012년에 이어 두 번째로 자민당 총재 선거에 도전한다. 방위상, 농림수산상, 문부과학상, 외무상 등을 역임했으며, 해산한 파벌 '고치카이'(기시다파)의 2인자였다.

모테기 도시미쓰 자민당 간사장도 출마 선언을 했다. 중의원 10선에 외무상, 경제산업상 등을 거쳤다. 모테기파의 수장이다.

고바야시 다카유키 전 경제안보담당상은 49세로 가장 먼저 출마를 선언했다. 기시다 후미오 정부에서 초대 경제안보 담당상을 지냈으며 4선 의원이다. 그러나 지난달 야스쿠니 신사를 참배하는 등 우익 행보를 보인다.

여성 후보들도 눈에 띈다. 다카이치 사나에 경제안보상은 '리틀 아베'라 불리는 우익 강경파 정치인이다. 법무상을 세 차례 역임한 가미카와 요코 외무상과 노다 세이코 전 총무상도 입후보를 준비 중이다.

이 외에도 가토 가쓰노부 전 관방장관, 사이토 겐 경제산업상 등이 추천인을 모으고 있다.

'파벌 해체' 자민당, 새로운 바람 불까
이번 선거의 핵심 쟁점은 '파벌 해체'다. 이전까지는 관례적으로 파벌당 후보 한 명을 앞세웠다. 그러나 지난해 말 비자금 스캔들 이후 주요 파벌이 해산을 선언하면서 이번 선거 양상은 과거와 달라질 전망이다. 40대 후보들과 여성 후보들이 주목받는 이유다.

우치야마 유 도쿄대 교수는 "자민당의 지지율이 크게 떨어진 만큼 활력을 되찾았다는 것을 보여줘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파벌 해체로 이전보다 당원의 민심 중요성이 높아진 만큼 후보들은 민생 정책도 속속 내놓고 있다. 모테기 간사장은 '증세 제로'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공언했으며, 하야시 관방장관도 전기·가스비 보조금 제도 연장 가능성을 시사했다. 고노 디지털상은 자신의 엑스(X·옛 트위터) 계정을 통해 사회보험료를 인하하겠다고 밝혔다. 여론조사 1, 2위를 다투는 고이즈미 전 환경상과 이시바 전 간사장도 경제 대책을 앞세우고 있다.

새로운 바람이 불고 있지만, 여전히 '아빠 찬스'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교도 통신에 따르면 이시바 전 간사장, 고이즈미 전 환경상, 고노 디지털상, 하야시 관방장관은 모두 정치인 아버지로부터 지역 기반을 물려받은 세습 정치인이다. 또 노다 전 총무상은 할아버지가, 가토 전 관방장관은 장인이 중의원 의원이었다. 사실상 후보군 절반이 세습 정치인이다. 이에 특권을 가진 세습 정치인들이 일반 국민의 삶을 제대로 이해하기 어렵다는 우려가 나온다.

블룸버그 통신은 "자민당 선거는 대체로 당 파벌 간부의 선택에 영향을 받았지만, 비자금 스캔들로 대부분의 파벌을 해체하기로 결정한 만큼 이번 선거는 수년 만에 가장 예측하기 어려운 선거 중 하나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오수연 기자 syo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