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9.07 (토)

수천억 예산 낭비 악몽 되풀이? 인천시, F1 유치전 뛰어들고도 ’쉬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겨레

지난 5월25일 오후(현지시각) 모나코에서 열린 포뮬러원(F1) 그랑프리에서 경주용 차량이 서킷을 질주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인천시가 국제 자동차 경주대회 ‘포뮬러원’(F1) 유치전에 뛰어들게 된 과정과 검토 자료 등을 밝히라는 시민단체의 정보공개청구에 대부분 비공개 결정을 내린 것으로 확인됐다. 시민단체들은 수천억원의 세금이 투입되는 행사인 만큼 의사결정 과정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시민 의견을 수렴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24일 한겨레가 인천평화복지연대를 통해 확보한 인천시의 포뮬러원 유치 추진 관련 정보(공개) 결정 통지서를 보면, 인천시는 인천평화복지연대가 요구한 포뮬러원 유치 계획과 관련한 논의자료 상당수를 비공개 처리했다. 앞서 인천평화복지연대는 지난달부터 지난 11일까지 세차례에 걸쳐 인천시에 포뮬러원 유치와 관련해 정보공개청구를 했다. 이 단체가 정보공개를 청구한 것은 인천시가 일본·모나코 출장 때 포뮬러원 쪽에 제출한 의향서와 협약서, 포뮬러원과 한국 파트너인 태화홀딩스가 인천시에 보낸 포뮬러원 개최 제안서와 협의 내용, 대회를 주관하는 포뮬러원 그룹 관계자의 송도·청라 현장 답사 자료, 포뮬러원 유치를 위한 정부 및 민간 관계자와의 면담 자료, 서킷 디자인 업체와의 실무협의자료, 인천경제자유구역청과 포뮬러원 그룹이 맺은 비밀유지협약 관련 자료 등이다.



하지만 인천시는 모나코 방문 때 포뮬러원 그룹에 제시한 협력 의향서, 서킷 디자인 업체와의 실무협의 자료만 공개했을 뿐 나머지 자료는 비공개·정보부존재 통보를 하거나 이미 공개된 보도자료 등으로 대체했다. 특히 비공개 처분된 일본 방문 당시 포뮬러원 그룹에 제출한 의향서·협약서, 인천경제청과 포뮬러원 그룹 간 비밀유지협약 체결 관련 자료 등은 인천시의 포뮬러원 유치 계획이 어떤 과정을 거쳐 나오게 됐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핵심 자료로 꼽힌다는 점에서 반드시 공개돼야 한다는 게 시민단체 입장이다. 인천시의 포뮬러원 유치는 지난해 말 인천경제청에서 추진하다가 흐지부지됐고, 이후 유정복 시장이 지난 4월 일본을 방문하면서 다시 힘을 받았기 때문이다. 인천시는 이후 시청에 포뮬러원 유치를 위한 별도 조직을 만들었다.



시민단체들은 포뮬러원 유치와 후속 사업 진행에 수천억원의 예산이 투입된다는 점에서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는 것이 필수라고 지적한다. 이광호 인천평화복지연대 사무처장은 “전남 영암에서도 검증 과정 없이 포뮬러원을 유치하면서 4300억원의 예산을 낭비한 전례가 있지 않나. 같은 전철을 밟지 않으려면 인천시의 포뮬러원 유치 계획이 어떻게 시작됐고 어떤 절차를 거쳤는지 투명하게 공개하고, 공개된 자료를 근거로 포뮬러원 유치가 인천에 도움이 되는지를 냉정히 따져봐야 한다”고 말했다.



한겨레

지난 3일 오전 인천 남동구 인천시청 앞에서 ‘F1 개최 반대 인천대책위원회’가 발족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겨레

지난 4월23일 인천시청 회의실에서 박덕수 당시 인천시 행정부시장이 포뮬러원 한국 파트너인 태화홀딩스 강나연 회장을 만나 ‘2026년 F1 인천 그랑프리 유치를 위한 업무협약(MOU)’ 체결 계획 등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인천시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 인천시 국제행사추진단 쪽은 “(포뮬러원 유치와 관련해) 우려하는 부분을 알고 있다. 사전 타당성 용역이 끝나면 그 결과를 토대로 같이 논쟁을 하고 논의를 하는 자리를 만들 수 있을 것 같다”고 했다. 인천시는 2026년이나 2027년 송도국제도시에서 첫 포뮬러원 인천 그랑프리를 연 뒤 최소 5년에 걸쳐 대회를 매년 개최하는 방안을 구상하고 있다.



이승욱 기자 seugwookl@hani.co.kr



▶세상을 바꾸는 목소리에 힘을 더해주세요 [한겨레후원]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행운을 높이는 오늘의 운세, 타로, 메뉴추천 [확인하기]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