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9.08 (일)

“돈 빌려주는 게 사채업자뿐” ‘포용금융’ 인뱅도 중·저신용 대출 줄였다[머니뭐니]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인뱅, 올해 차주 신용점수 평균 900점대…반년 새 60점↓

연체율 등 건전성 악화…중·저신용 대출 비중 축소 우려

“‘주담대’라도 늘려야 하는데” 가계대출 증가에 압박 가중

2금융권도 신용대출 축소…불법사금융 선택 유인만 늘어

헤럴드경제

서울 한 폐업 상점 안에 각종 고지서가 쌓여 있다.[연합]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김광우 기자] 출범 이후부터 중·저신용 대출 비중을 늘리며 ‘포용금융’ 역할을 수행했던 인터넷전문은행들이 최근 중·저신용 대출 문턱을 높인 것으로 나타났다. 고금리 상황이 이어지는 가운데, 중·저신용 대출을 중심으로 건전성 악화가 두드러지면서다. 가계대출 확대를 우려한 금융당국의 압박에 중·저신용 대출의 기반이 되는 주택담보대출 자산 축적이 억제된 영향도 작용했다. 문제는 수요·공급 불일치 현상이 나타나며 금융 취약계층이 불법사금융으로 몰리고 있다는 것이다.

‘고신용자’ 늘리는 인터넷은행…‘포용금융’ 취지 무색
헤럴드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4일 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5월까지 인터넷은행 3사(카카오뱅크·케이뱅크·토스뱅크)가 취급한 신용대출 차주의 평균 신용점수(월별 단순평균, KCB 기준)는 912.4점으로 지난해 하반기 평균(869.9점)과 비교해 42.5점가량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최저 860점대까지 떨어졌던 월별 차주 평균 신용점수가 올 들어 일괄 900점대를 웃돈 결과다.

비교적 중·저신용 대출 압박이 덜했던 지난해 상반기 평균(898.2점)과 비교해서도 14.2점가량 증가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카카오뱅크의 신용대출 차주 평균 신용점수는 같은 기간 901점에서 896점으로 5점 줄어, 여타 인터넷은행과 반대 양상을 보였다.

주요 시중은행들과의 차주 신용점수 격차도 점차 좁혀졌다. 지난해 9월 기준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농협)의 신용대출 차주 평균 신용점수는 924.4점으로 인터넷은행 3사(864.7점)과 비교해 59.7점가량 높았다. 그러나 올해 4월 기준 평균 신용점수 차이는 1.5점까지 줄어들었다. 인터넷은행들에서도 시중은행과 같이 고신용 차주를 중심으로 대출 공급을 시행했다는 얘기다.

인터넷은행은 출범 취지 중 하나로 중·저신용 공급 역할을 부여받은 이후 꾸준히 관련 대출 비중을 늘려온 바 있다. 금융당국은 2021년부터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 목표치를 설정해, 일정 비중 이상의 신용대출을 중·저신용자에게 공급하도록 했다. 지난해 말 기준 인터넷은행 3사의 신용대출 중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은 평균 30%대를 넘어섰다. 하지만 연체율 증가 등 건전성 악화 현상이 이어지며, 이들에 대한 대출 비중이 줄어들었다.

헤럴드경제

서울 한 시중은행 영업점의 대출 안내문 앞을 시민이 지나가고 있다.[연합]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때 중·저신용자 대출 공급을 늘리기 위해 내걸었던 ‘파격적’ 금리도 사라졌다. 지난해 4분기 인터넷은행들은 중·저신용 대출 비중을 늘리기 위해 일반 신용대출보다 낮은 금리를 제공한 바 있다. 지난해 12월 케이뱅크는 신용점수 601~650점 차주에 평균 4.29%의 대출금리를 적용했다. 이는 951~1000점(7.32%)과 비교해 3%포인트가량 낮은 수치다. 한때 ‘역차별’ 논란을 불러왔던 대출금리는 올 들어 다시 역전됐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인터넷은행이 본래의 취지가 아닌 이익 추구에만 집중하고 있다는 비판이 이어진다. 특히 금융당국이 올해부터 중·저신용 대출 비중 규제를 완화하며, 공급이 줄었다는 지적이 나온다. 실제 금융당국은 올해부터 인터넷은행의 중·저신용 대출 비중 산정 방식을 기말 잔액에서 평균 잔액으로 바꾸면서, 목표치 또한 일괄 30%로 조정한 바 있다.

안전자산 확보도 ‘난관’…수요·공급 불균형 심화

헤럴드경제

서울 한 시중은행 영업점에서 고객이 업무를 보고 있다.[연합]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인터넷은행들은 건전성 관리를 위해 비중 축소가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실제 인터넷은행 3사의 1분기 말 기준 평균 연체율(1개월 이상)은 0.92%로 5대 시중은행 평균(0.31%)과 비교해 3배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정이하여신 규모 또한 1분기 말 기준 4784억원으로 전년 동기(3339억원)와 비교해 43.3%가량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중·저신용 대출 여력을 키울 수 있는 ‘안전자산’ 주택담보대출 확보도 어려운 상황에 직면했다. 최근 주담대를 중심으로 가계대출 증가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인터넷은행에 대한 주담대 축소 압박은 거세지고 있다. 주담대 수요가 인터넷은행에 몰리는 현상이 이어진 결과다. 실제 낮은 금리를 통해 주담대 고객을 끌어모았던 카카오뱅크·케이뱅크의 이날 기준 주담대 금리 하단은 각각 3.41%, 3.42% 등으로 5대 시중은행 하단(2.91%)과 비교해 0.5%포인트가량 높았다.

결국 이같은 현상은 중·저신용자 등 금융취약계층에 대한 양질의 자금 공급 축소로 이어진다. 실제 인터넷은행을 대체할 수 있는 중·저신용 대출 공급 기관인 2금융권의 경우도 건전성 악화에 따라 이들에 대한 공급을 줄이고 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 상반기 제2금융권의 가계대출 잔액은 전년 말과 비교해 12조8000억원 감소했다. 은행 가계대출이 늘어난 것과는 대조적이다.

헤럴드경제

[게티이미지뱅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여기다 향후 중·저신용자의 자금 수요가 늘어나며, 수요·공급 불균형이 심화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 금융기관 대출행태서베이에 따르면 은행권 3분기 가계일반 대출태도지수 전망치는 –19로 ▷1분기 –6 ▷2분기 –14 등으로 점차 악화하고 있다. 해당 수치가 0보다 작다는 것은 대출태도가 강화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저축은행과 상호금융의 대출태도지수는 각각 –11, -27 등으로 집계됐다. 반면 가계일반 대출수요지수 전망치는 3분기 기준 (+)8로 2분기(-8)와 비교해 크게 늘었다.

제도권 금융의 마지막 보루로 여겨지는 대부업체의 신용공급도 줄어들고 있다. 자금조달비용이 높아지는 가운데, 법정최고금리(20%)에 따라 대출금리가 제한되며 기대수익이 감소한 영향이다. 이 경우 자금이 필요한 중·저신용자들이 ‘울며 겨자먹기’로 불법사금융을 선택하는 등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실제 서민금융연구원은 지난해 대부업체에서 불법 사금융으로 이동한 저신용자(신용점수 6~10등급)가 4만8000~8만3000명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했다. 이는 전년 3만9000~7만1000명에서 1만명가량 늘어난 수치다.

헤럴드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woo@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