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핵전력으로 北核 억제하고
양국 재래전력으로 승리 전략
유사시 든든한 조력자 되려면
韓 재래식 전력 홀로서기 필요
이러한 한국의 요구에 대해 미국의 약속은 견고하다. 2022년 SCM(한·미 안보연례협의회)부터 북한의 핵 사용은 정권 멸망이라고 강하게 경고했다. 2023년에는 워싱턴 선언을 통해 한·미가 핵작전계획 공동기획·공동실행 단계로 나아가기 위하여 NCG(핵협의그룹) 체제를 만들었다. 2024년 7월11일에 드디어 양국 정상은 ‘한반도 핵억제·핵작전 지침’을 승인하는 공동성명을 발표했다. 아직 공동 핵작계가 완성된 것은 아니지만, 당장 이번 UFS(을지프리덤실드) 한·미 연합연습에서 TTX(도상훈련)부터 실시할 예정이다.
양욱 아산정책연구원 연구위원 |
분명 한·미동맹이 강화되는 모습이지만 안심할 수만도 없는 이유가 있다. 바로 11월에 있을 미국 대선이다. 올해 초까지만 해도 박빙의 대결을 펼쳐왔지만, 바이든 건강 논란에 이어 트럼프 암살 시도가 이어지며 트럼프의 재선 가능성이 커졌다. 트럼프 재선 시 한·미동맹 자체가 무너질 것을 우려하는 목소리는 갈수록 높다. 트럼프 진영의 안보책사들은 미국이 중국을 압도하려면 동맹을 위해 전력을 분산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이에 더하여 중국과 결전에 대비하려면 한반도에서 전력을 손실할 여유가 없다고 말한다.
한국이 자체 핵무장을 고려해야 한다는 말까지 나온 것도 이런 맥락이다. 그러나 이는 미국이 국제제재를 막아주면서 한국의 핵무장을 후원하겠다는 약속은 아니다. 게다가 이러한 언동이 과연 트럼프 혼자의 독단인지, 아니면 강대국 패권경쟁에만 집중하기도 힘겨운 미국의 속내인지 살펴야 한다. 바이든 정부도 확장억제에서 미국보다 동맹의 역할을 강조한다. NCG를 통해 구현되는 한반도 핵억제·핵작전 지침에도 이런 셈법이 엿보인다.
결국 재래전력의 대부분을 한국이 감당해야만 하는 상황으로 점차 바뀌고 있다. 점차 악화되는 안보 상황에서 미국만 바라보고 미국 탓만 할 수는 없다. 그래서 우리는 안보협력의 지평을 일본에 더하여 호주와 뉴질랜드 그리고 전 세계의 자유민주국가로 넓혀야 한다. 우리 정부가 유엔사령부의 회원국을 확대하고 유사시 증원과 지원의 통로를 넓히려는 것은 바람직한 접근이다. 같은 맥락에서 유엔사를 기반으로 아태지역안보동맹으로 확장시키는 방법도 고려할 수 있다.
양욱 아산정책연구원 연구위원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