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8.26 (월)

한은, "美 성장엔진 '소비' 둔화에 韓 기업 수출도 주춤 예상"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유럽, 제조업 개선→실질 소득 증가→소비 증가 예상

한국, 對미국 수출 줄고, 對유럽 수출 확대 예상

메트로신문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팬데믹 시기 급격히 증가한 미국 수출이 둔화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미국 정부의 재정지원으로 늘어난 초과저축이 고금리·고물가로 쪼그라들며 내구재를 중심으로 소비가 감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반면 유로지역은 제조업 경기가 개선되며 늘어난 소득이 소비로 이어지고 있다. 앞으로는 유로지역을 대상으로 수출이 확대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국은행이 16일 발표한 'BOK이슈노트: 미국과 유로지역의 소비흐름을 어떻게 볼 것인가'에 따르면 미국의 소비는 올해 들어 재화소비 중 내구재 등을 중심으로 둔화하고, 소득계층별로는 저소득층을 중심으로 감소하고 있다.

미국 경제성장에서 소비는 67.9%를 차지한다. 소비가 감소함에 따라 경제성장도 더 어려워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메트로신문사

◆ 美, 초과저축 줄자…자동차 등 소비 감소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지난해 하반기 2분기 연속 3% 증가한 미국의 소비는 올해 1분기 1.5%, 4~5월 1.2%로 둔화했다.

서비스소비는 의료·금융·여가부문을 중심으로 양호했지만 재화소비가 감소했다. 특히 자동차·IT기기 등 내구재 소비가 부진했다. 자동차 소비는 지난해 7~12월 전기대비 -1.7%에서 올해 1~5월 -3.7%로 감소폭이 확대됐다. IT기기는 같은 기간 9.9%에서 1.3%로 증가폭이 축소됐다.

소득계층별로는 저소득층의 소비가 두드러지게 감소했다. 고민지 조사국 국제종합팀 과장은 "저소득층 소비의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식료품 등 생필품 증가세도 둔화되고 있다"며"저소득층 소비가 좋지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이처럼 미국의 소비가 감소한 이유는 고금리·고물가 상황이 길어지면서 초과저축(장기추세 수준을 웃도는 저축)이 쪼그라든 영향이 컸다. 팬데믹 당시 대규모 재정지원이 이뤄지며 초과저축은 2021년 8월 기준 2조1000억달러 규모였다. 이후 고금리 고물가로 가계의 재정상황이 악화하며 올해 4월 초과저축은 -2000달러를 기록했다. 지난 3월께 초과저축이 소진된 것으로 추정된다.

줄어든 일자리도 소비에 악영향을 끼쳤다. 올해 2분기 취업자수 증가폭은 17만7000명으로 지난해 4분기(21만2000명)와 비교해 4만명가량 줄었다. 향후 고용이 더욱 어려워질 수 있다는 우려에 소비가 더 감소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고 과장은 "정부의 재정지원을 통해 누적된 초과저축이 올해 3월 소진된 것으로 추정된다"며 "내구재를 중심으로 소비 둔화 흐름은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메트로신문사

◆ 유럽, 생산→소득→소비 순환

반면 유로지역의 소비는 미국과 달리 이제야 회복하는 추세다.

이현아 미국유럽경제팀 과장은 "유로지역은 미국보다 제조업 의존도가 높은데, 팬데믹 으로 제조업이 위축되면서 유로지역의 실질소득이 부진했다"며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면서 에너지 지출도 크게 늘어 가계소비가 크게 위축됐다고"고 설명했다.

다만 이로 인해 유로지역은 저축동기가 강해지면서 팬데믹 이전에 비해 저축율이 크게 상승했다. 미국의 경우 2023년보다 2013~2019년이 높은 반면 이탈리아와 독일 등은 2013~2019년 18%대에서 2020년대 20%대로 늘었다.

여기에 제조업 경기 회복이 소득증가로 이어지며 소비도 상승하고 있다. 이 과장은 "재화소비는 실질 소득이 늘어난 시기에 주로 증가했다"며 "향후 실질소득 증가세로 이어지면서 재화소비 증가율도 더 높아질 것으로 판단한다"고 말했다.

이로 인해 한국은행은 앞으로 미국 수출이 감소하고 유럽 수출은 개선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 과장은 "지금까지 높은 증가세를 지속했던 우리나라의 대(對) 미국 수출 증가세는 점차 둔화할 것으로 판단한다"며 "유로지역은 제조업 경기가 회복돼 실질소득이 확대되는 등 점진적으로 수출이 개선될 것"이라고 말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