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아리셀 참사, 은폐 시도 있어”…유가족 공동 대응 나선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겨레

28일 경기도 화성시청에 설치된 아리셀 화재 참사 추모 분향소에서 유가족협의회 관계자들이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지난 24일 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전곡리 소재 일차전지 업체인 아리셀 공장에서 화재가 발생해 31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경기도 화성 아리셀 화재 참사 유가족들이 협의체를 꾸려 공동대응에 나서기로 했다. 회사 쪽의 참사 축소·은폐 시도에 맞서 유가족들이 단일한 목소리를 내 온전한 진상 규명에 힘을 싣기 위함이다. 아직 유가족 협의체에 참여하지 않은 일부 유가족들은 빈소를 꾸려 장례 절차에 들어갔다.



28일 김태윤 아리셀 화재 참사 유가족협의회(가칭) 대표와 유가족들은 화성시청에 마련된 임시 분향소 앞에서 유가족협의회(유가협)를 구성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아울러 시민사회단체가 주축이 된 시민대책위도 별도로 구성돼 참사 진상규명과 유가족들의 법률 지원 등에 힘을 보태기로 했다. 이날까지 유가협에는 참사 희생자 23명 중 17명의 유가족이 참여하기로 했는데, 이 중 3명은 한국인 희생자들이고, 14명은 중국 동포 희생자들이다. 김 대표는 이번 참사로 가족을 잃은 한국인 유족의 지인으로 다른 유가족 대표 4명과 함께 공동 대표를 맡으며 대외창구 구실을 하기로 했다. 유가협은 연락이 닿지 않은 남은 유가족들에게도 협의체 참여 의사를 물을 계획이다.



유가족들은 공동대응에 나서는 배경에 아리셀의 사고 축소·은폐 시도가 있다고 밝혔다. 박순관 아리셀 대표를 비롯한 몇몇 임원이 일부 유가족들에게 개별적으로 접근하는 등 진상규명을 요구하는 유가족들의 목소리를 축소하려는 의도가 분명해졌다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 아리셀 쪽은 유가족들에게 참사의 진상을 설명하고 사죄 의사를 밝히기에 앞서 대국민 사과 기자회견을 자처하며 여론전에 나선 바 있다.



김 대표는 “회사에 진정어린 사과와 진상조사, 보상안 등을 요구했지만 회사가 모르쇠로 하고 일방적으로 개인적으로 전화해 사과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며 “사과한다면서 위로금 조금 주고 정리하거나, 법적 관계가 끝나고 얘기하자는 전형적인 사업주들의 모습”이라고 지적했다.



유가족들은 단일대오를 구축하기로 한 만큼 당장 장례 절차를 밟지 않고 논의를 이어가기로 했다. 김 대표는 “당장 장례 절차를 밟을 이유가 없다”며 “경험상 장례를 치르고 나면 진상규명을 위한 노력들이 지금보다 훨씬 더뎌질 수밖에 없기 때문에 진행 상황을 보면서 장례 절차를 가질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유가족들 간 소통 방도가 마땅치 않아 부득이하게 유가협 논의에서 제외된 희생자 6명 중 3명의 유가족들은 이미 장례를 치렀거나 치르는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날 경기 시흥시의 한 병원에 꾸려진 빈소에는 희생자를 애도하기 위한 발걸음이 줄이었다. 빈소를 찾은 고인의 지인들은 장례식장 전광판에 뜬 고인의 얼굴을 가리키며 “진짜 예뻤고 착했고 명랑했고 밝았다”며 말을 잇지 못했다. 한 조문객은 고인의 죽음이 믿기지 않는다는 듯 빈소 앞에서 “못 들어가겠다”고 오열하며 발을 동동 구르기도 했다. 빈소에 허망히 앉아 있던 고인의 어머니는 “내 막내딸, 내 가슴 아파 죽겠다. 막내딸이 돌아갔다”며 울부짖었다.



고인은 과거 보험 회사에 다니다가 개인적인 사정으로 아리셀에 다니며 홀로 자녀를 양육한 것으로 전해졌다. 고인의 한 지인은 “공장에서 일한 지 전혀 몰랐다. 힘든 것을 주변에 얘기하는 성격이 아니어서 더 안타깝다”고 말했다.



심우삼 기자 wu32@hani.co.kr 김채운 기자 cwk@hani.co.kr



▶▶권력에 타협하지 않는 언론, 한겨레 [후원하기]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