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서울시, 대학에 5년간 6500억 투자한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년 1300억...인재 3200명 양성

캠퍼스 공간 효율화

시민들에게 열린 캠퍼스 조성

서울시가 앞으로 5년간 시내 대학에 6500억원을 투자한다. AI·반도체 등 미래산업 인재를 양성하고, 대학 캠퍼스가 시민들에게 열린 공간이 되도록 지원한다.

서울시는 이같은 내용의 ‘대학과 함께하는 서울 미래 혁신성장 계획’을 18일 발표했다. 내년부터 대학 지원에 관한 행·재정 권한이 정부에서 지방자치단체로 넘어가는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라이즈)가 시행된다. 서울시는 이에 따른 서울 내 대학 지원 방안을 발표했다. 대학의 인적·연구 자원을 발전시켜 도시 경쟁력을 높이겠다는 내용이다.

◇ 매년 1300억 투입…인재 3200명 양성

서울시는 2025년부터 2029년까지 매년 1300억원, 5년간 6500억원을 투입해 산학협력 강화·미래산업 인재 양성·창업 활성화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글로벌 기술이전과 지식재산권 등 성과를 창출할 협력대학 12개교를 선정해 5년간 600억원을 투입한다. 창업 초기부터 해외 시장에 초점을 둔 기업도 60개 이상 배출하는 것이 목표다. 산학 공동연구, 기술개발 및 사업화 등에 초점을 맞춰 30개교를 선발해 서울시의 경제·산업전략과 연계한다.

대학 간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기 위해 AI·바이오 분야 혁신대학으로 구성된 컨소시엄 2곳을 선정하고 총 500억원도 지원한다. 현재 양재와 홍릉 중심의 AI·바이오 허브를 서울 전역으로 넓힐 계획이다.

AI 등 신기술 분야 대학원 계약학과 20곳도 만든다. 서울시는 대학과 기업이 연결될 수 있는 중개 역할을 한다. 이후 현장 실습비, 기업 수요에 맞는 커리큘럼 개발 등도 지원할 계획이다. 신기술 분야 인재 1000명 이상을 양성하는 것이 목표다.

이공계 석박사급 외국인 1000명도 유치한다. 이 인재들은 첨단산업 관련 중소기업에 연계한다. 서울시는 해외 인재 정착 비용, 외국인에게 맞는 반도체 교육과정 개발, 유학생 학비 일부를 지원할 계획이다.

창업 활성화를 위해 2029년까지 서울캠퍼스타운에서 1300개 이상의 대학 창업기업을 배출하고 단계적 지원을 통해 성장을 돕는다. 이를 위해 2026년까지 5조원 규모로 조성하고 있는 ‘서울비전2030 펀드’의 일부를 투입할 계획이다.

◇ 규제 완화하는 ‘혁신캠퍼스’, 시민에게 열린 ‘오픈캠퍼스’ 추진

대학 도시계획 혁신 차원에서 각종 불필요한 규제는 완화해 대학이 다양한 융복합 연구 공간을 확보하게 할 계획이다.

서울시가 앞서 2022년 대학 용지의 용적률을 완화해 연구 공간을 추가로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의 후속 발표다.

대학은 주차 수요가 높지 않다는 점을 고려해 연내에 조례를 개정, 대학 부설주차장 설치기준을 기존 200㎡당 1대에서 250㎡당 1대로 풀어주기로 했다. 이렇게되면 지하에 의무 주차 면수를 채운 대학은 지상 주차장 부지에 연구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공공·민간 기숙사를 늘리고 폐교나 미개설 학교 용지 등을 활용한 ‘행복기숙사’ 건립을 추진한다.

또 대학의 담장을 철거해 대학과 도시 사이 경계를 허물 계획이다. 시민들의 접근성을 높여 대학 상권도 활성화할 계획이다. 서울시 면적의 2%를 차지할 만큼 넓은 대학 부지를 시민들이 우회하지 않고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방학에는 비어있는 대학 기숙사를 해외 관광객에게 개방하는 ‘캠퍼스 스테이’도 도입한다. 도심과 가깝고 청결한 데다 안전한 기숙사에서 숙박은 물론 한국 문화를 체험할 수 있게 하겠다는 계획이다.

현재 대학 도시계획 혁신에는 총 10개(고려대, 서강대, 서울시립대, 성균관대, 세종대, 연세대, 이화여대, 중앙대, 한국성서대, 홍익대) 대학이 참여하고 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국가 경쟁력은 대학으로부터 비롯된다”며 “대학이 보유한 다양한 가치자원을 서울의 성장판 확대 기반으로 삼고, 미래 혁신 성장의 거점인 대학과 함께 글로벌 톱 5 도시 목표 달성을 앞당기겠다”고 말했다.

[박진성 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