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스타트업은 더 힘들어… “퇴직자 뽑고 동남아까지 사람 알아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AI·반도체 中企 161곳 물어보니 “2~3년 경력 쌓고 대기업행 허다”

인공지능(AI)·반도체 인력난은 대기업보다 스타트업이 훨씬 심각하다. 한 반도체 팹리스(설계) 업체는 AI 관련 제품 개발 일정을 연장했다. 개발 계획에 투입됐던 인력 2명이 최근 이직했기 때문이다. 새로 사람을 뽑기 위해 채용 전문 업체에 의뢰했지만 몇 달째 소식이 없다고 한다. 이 회사 관계자는 “괜찮은 사람을 뽑아도 2~3년 경력을 쌓은 후 대기업으로 옮겨가는 일이 허다하다”고 말했다.

경기도의 한 반도체 장비 기업은 젊은 인력을 구하기 어려워 최근 이미 퇴직한 연구자를 다시 채용했다. 새로운 설비를 들여오면서 이를 다룰 젊은 직원을 뽑으려 했지만, 지원자가 없었다. 이 기업 임원은 “하반기에는 동남아나 인도에서 사람을 찾으려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본지 의뢰로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산기협)가 기업 연구소를 보유한 반도체·AI 관련 중소·벤처기업 161곳을 조사한 결과, 응답 기업의 72%가 석·박사 인력 채용에서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답했다.

이들의 인력난이 결국 국내 AI·반도체 산업 인프라 약화로 이어질 것이라는 우려가 크다. 국내 반도체 산업은 소재·부품·장비의 해외 의존도가 높다. 비용 절감을 위해서라도 대기업을 받쳐줄 국내 소·부·장 기업들이 성장해야 하지만, 가장 기본적인 인력 공급에서 성장이 막혀 있다.

빅테크와 대기업의 ‘AI 전문가 채용 경쟁’에 개발자들의 몸값이 치솟은 점도 스타트업 인력난의 원인으로 꼽힌다. 한 스타트업 대표는 “AI 관련 경력이 조금만 있어도 연봉이 5000만원부터 시작한다”며 “개발자들의 고액 연봉을 맞춰주지 못해 기존에 추진하려던 사업까지 차질을 빚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스타트업들은 인건비가 비교적 저렴한 인도·동남아로 눈을 돌리고 있다. 국내에서 인력을 찾기 어려운 한 스타트업은 아예 동남아 등 해외에서 개발자를 채용한 뒤 원격으로 업무를 보고 있다. 한 스타트업 관계자는 “말레이시아나 싱가포르 등에서 채용을 시도하는 기업들도 늘고 있다”라고 말했다. 서울시 산하 서울AI허브는 베트남 FPT대학교와 업무 협약을 체결하고, 250여 AI 스타트업이 베트남 개발자를 인턴·직원으로 채용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했다.

[유지한 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