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책 만든 지 도합 150년, 출판사 女대표 5명이 뭉쳐 쓴 이 책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언니들의 계속하는 힘' 서울국제도서전 맞춰 선보여

"원하는 책, 만들고 싶은 책 만들 수 있으면 행복한 거죠"

연합뉴스

다섯명의 출판사 대표들이 만든 공동 브랜드 '출판하는 언니들'
[혜화1117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


(서울=연합뉴스) 송광호 기자 = 출판계는 '여초'라 여겨질 만큼 여성 종사자 비중이 높은 것으로 유명하다. 그러나 속을 들여다보면 꼭 그렇지도 않다. 여타 다른 업계와 마찬가지로 출판업에서도 업력이 길어질수록 업계를 떠나는 여성들이 늘어서다.

그런데도 꿋꿋이 버텨가는 여성 출판인들이 여기 있다. 박희선 가지 대표, 박숙희 메멘토 대표, 전은정 목수책방 대표, 최지영 에디토리얼 대표, 이현화 혜화1117 대표 등 다섯 명이 그 주인공이다.

이들은 1970년대생, 1990년대 출판계 입문, 2010년대 창업한 1인 출판사 대표라는 공통점이 있다. 5명을 모두 합치면 나이는 270살, 책 만든 지는 150년에 달한다. 이중 출판사 대표 경력만 51년에 이른다. 이들이 만든 책은 모두 합해 216권.

책을 만드는 데 있어 나름의 원칙이 있다. 이들은 우후죽순 나오는 트렌디한 에세이는 지양한다. 출간한 책 상당수는 이른바 '벽돌 책'이다. 사회과학 서적, 실험적인 인문 서적도 여러 권이다. 이 때문에 셀럽들이 추천하는 베스트셀러 책들은 '전무'하다고 한다.

연합뉴스

출판하는 언니들
왼쪽부터 에디토리얼 최지영 대표, 목수책방 전은정 대표, 메멘토 박숙희 대표, 가지 박희선 대표, 혜화1117 이현화 대표[혜화1117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


그러나 원칙을 지키며 책을 만드는 건 쉬운 일이 아니다. 일단 스트레스부터 이겨내야 한다. 월말이면 여러 비용이 차감되면서 통장 잔고가 크게 줄어드는 것도 그중 하나다. 그렇게 경제적 어려움도 겪지만 베스트셀러를 내는 게 목표는 아니다. 만들고 싶은 책을 꾸준히 만들 수 있는 게 목표다. 그래서 다음 책을 만들 수 있도록 지금 출간한 책을 '재쇄'(再刷)하는 게 현실적인 목표라고 한다.

"출판은 원래 소품종 다량 생산입니다. 내는 책 모두가 베스트셀러가 될 수 없고, 그럴 이유도 없어요. 원하는 책, 만들고 싶은 책을 만들 수 있으면 행복한 거죠. 그 기준이 재쇄인 것이고요."(이현화 혜화1117 대표)

연합뉴스

[혜화1117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


이번에는 자신들이 직접 쓴 책을 만들었다. 이들은 평소 한 달에 한 번 정도 걷는 모임을 진행하는데, 거기서 나온 제안이 단초가 됐다. 기획부터 편집, 제작, 홍보, 마케팅, 경리, 총무, 택배 발송까지 혼자 다 하는 데 글이라고 못 쓰겠냐는 호기가 작용했다고 한다.

이들은 '출판하는 언니들'이란 일종의 공동 브랜드를 만든 후 '출판이란 우리에게 무엇이고, 왜 이 일을 계속하는가'를 주제로 글을 썼다. 그 첫 결과물이 '언니들의 계속하는 힘'이다. '출판하는 언니들'은 오는 26일 개막하는 서울국제도서전에서 공동 부스를 운영하며 이 책을 선보인다.

이들이 출판 일을 하는 건 단순히 '호구지책'이어서만은 아니다. 출판에서 매력을 느끼고, 기쁨을 느껴서다. 그래서 30년 넘게 쭉 해오고 있는 것이라고 이현화 대표는 설명했다. "엄청난 성공만이, 대단한 그 무엇이 우리 삶을 행복하게 하는 게 아니다"라고 그는 말했다.

연합뉴스

[혜화1117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


삶과 책에 대한 이들의 태도는 책 서문에도 자세히 드러난다.

"큰 목소리 가져본 적 없지만, 여전히 줄기차게 '이곳'에 있습니다. 우리를 '이곳'에 있게 한 건 뭐였을까, 각자 짧은 글을 썼습니다. 쓰고 보니 그것은 직업? 일상? 애증? 생존? 사랑? 오래 '이곳'에 남아 있고 싶은 마음! 흰머리 희끗한 우리에게 '책'은 여전히 그런 것이었더랍니다."

buff27@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