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경주 쪽샘유적서 '둘레돌 없는' 돌무지덧널무덤 발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뉴시스

[서울=뉴시스] 경주 쪽샘유적에서 발견된 둘레돌 없는 돌무지덧널무덤 J171호(아래)·J172호(위) 조사 모습 (사진=국가유산청 제공) 2024.06.26.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시스] 이수지 기자 = 경주 쪽샘지구 유적에서 둘레돌이 없는 돌무지덧널 무덤 2기가 국내에서 처음 발견됐다.

둘레돌은 호석으로도 불리는 돌로 가장자리에 쌓아 무덤을 표시하거나 봉분을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신라 돌무지덧널무덤에서 중요한 시설로 여겨진다.

국가유산청 국립경주문화유산연구소(소장 황인호)는 경주 쪽샘지구 유적에서 지금까지 알려진 적이 없는 새로운 돌무지덧널무덤 형식이 확인됨에 따라 오는 27일 오전 10시 발굴조사 성과와 출토유물을 공개하는 현장설명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경주 대릉원 일원 쪽샘지구 유적은 1500여 년 전 약 200년에 걸쳐 조성된 신라 왕족과 귀족의 무덤군이다. 축구장 16개 면적과 맞먹는 대규모 유적지다. 국립경주문화유산연구소는 지난 2007년부터 무덤 위치와 크기, 구조 파악을 위해 발굴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지금까지 무덤 1300여기를 확인했다.

이번에 새로 발견된 경주 쪽샘지구 유적 돌무지덧널무덤 2기는 경주 황남대총처럼 남쪽과 북쪽에 나란히 조성하고 봉분(지름 약 13m)을 연접하여 축조했다. 남쪽에 먼저 만든 무덤(J171호)과 나중에 만든 북쪽 무덤(J172) 구조가 서로 다르다. J171호는 무덤 주인공과 껴묻거리를 하나의 덧널 안에 넣는 단곽식이다. J172호는 무덤 주인공을 넣은 주곽 외에 껴묻거리만 넣는 부곽을 함께 만드는 방식의 주·부곽식이다.

특히 기존 돌무지덧널무덤과 달리 두 무덤 다 둘레돌이 없는 독특한 구조를 지녔다. 기존 돌무지덧널무덤은 덧널, 돌무지, 봉토, 둘레돌로 구성되어 있다.

뉴시스

[서울=뉴시스] 경주 쪽샘유적 둘레돌 없는 돌무지덧널무덤에서 발견된 꽃잎형 선각문 뚜껑 (사진=국가유산청 제공) 2024.06.26.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또한, 대릉원 일원 고분군에서 처음 확인되는 유물도 다수 출토됐다.

북쪽 무덤 부곽에서 꽃잎 모양을 반복적으로 새긴 뚜껑과 다리에 세 줄로 구멍을 뚫은 굽다리접시가 나왔다. 신라 왕경 외곽 또는 주변 지역에서 만든 토기로 추정된다.

뉴시스

[서울=뉴시스] 경주 쪽샘유적 둘레돌 없는 돌무지덧널무덤에서 발견된 삼단투창 굽다리 접시 (사진=국가유산청 제공) 2024.06.26.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말안장, 발걸이, 띠드리개, 띠꾸미개로 구성된 온전한 말갖춤을 큰 항아리 위에 놓은 모습도 확인됐다.

국가유산청은 "특히 볼록렌즈형 금동제 장식과 철에 은을 입힌 테두리가 결합한 띠꾸미개는 출토된 사례가 거의 없는 희귀한 자료"라며 "고대 신분을 과시하는 물건인 말갖춤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suejeeq@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