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8 (화)

프랑스 "소요 사태 누벨칼레도니 비상사태 해제 예정"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엘리제궁, 마크롱 성명…"佛 시각 27일 오후 8시 해제"

"사태 해결 위한 대화 목표…병력 480명 증원도 병행"

독립 세력, 佛 개헌안 폐기까지 저항 태세 유지 촉구

뉴시스

[누메아=AP/뉴시스]프랑스 정부가 소요 사태가 벌어진 남태평양 프랑스령 군도 누벨칼레도니(뉴칼레도니아)에 비상사태를 해제하겠다고 밝혔다. 사진은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지난 23일(현지시각) 누벨칼레도니 누메아에서 지역 선출직 공무원, 지역 대표와 만나 회의하면서 메모하는 모습. 2024.05.27.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시스] 이명동 기자 = 프랑스 정부가 소요 사태가 벌어진 남태평양 프랑스령 군도 누벨칼레도니(뉴칼레도니아)에 비상사태를 해제하겠다고 밝혔다.

27일(현지시각) AP에 따르면 프랑스 엘리제궁은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명의 성명을 내어 "비상사태가 당분간 연장되지 않을 것이다. 누벨칼레도니에 내려진 비상사태가 프랑스 수도 파리 시각으로 이날 오후 8시를 기해 해제될 것"이라고 공지했다.

지난 13일 시작한 소요 사태에 프랑스 정부는 12일 동안 발효하는 비상사태를 선포했다. 프랑스가 본토 외 지역에서 비상사태를 선포한 것은 39년 만이다.

이번 조치는 독립주의와 비(非)독립주의파 지도부, 선출직 공무원이 만나 대화할 기회를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다. 프랑스 정부는 이를 위해서 시위대가 방어벽을 치우는 것이 진지한 협상을 위한 필수 조건이라고 강조했다.

비상사태 아래서 보안당국은 공공질서에 위협이 된다고 여겨지는 사람을 향해 가택연금, 수색, 무기 압수, 이동권 제한 등을 행사할 수 있다.

이 같은 조치는 지난 23일 마크롱 대통령이 누벨칼레도니를 방문해 소요 사태를 촉발한 투표권 확대 개헌안을 강행하지 않겠다고 한발 물러선 데 따른 것이다.

다만 이 같은 조치로 사태가 누그러질지는 미지수다.

뉴시스

[파리=AP/뉴시스] 16일(현지시각) 프랑스 파리에서 시위대가 카나크 사회주의 해방전선(FLNKS) 깃발을 들고 있다. 남태평양의 프랑스령 뉴칼레도니아(누벨칼레도니)에서 지난 13일부터 발생한 대규모 소요 사태로 카나크족 3명과 프랑스 헌병 등 지금까지 4명이 숨진 것으로 나타났다. 프랑스 정부는 뉴칼레도니아에 비상사태를 선포했다. 2024.05.17.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앞서 카나크사회주의해방전선(FLNKS)은 프랑스 정부가 개헌안을 전면 백지화하기 전까지 저항 태세를 유지하라고 촉구했다.

프랑스 정부는 사태가 완전한 진정되지 않은 탓에 앞으로 몇 시간 안에 군사경찰 480명이 추가로 누벨칼레도니에 도착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증원병이 합류하면 누벨칼레도니에 머무는 프랑스 보안 병력은 3500여 명이 된다.

앞서 총격으로 발생한 사망자 7명 중 2명은 군사경찰이었다. 공권력에 체포된 인원은 280여 명을 웃돈다.

앞서 프랑스 의회에서 누벨칼레도니 지방선거 투표권을 현지에 10년 이상 거주한 프랑스 시민권자에도 확대하는 방안을 논의·승인한 데에 반발해 대규모 폭동이 일어났다. 법이 개정되면 새로 2만5000여 명이 지방선거 투표권을 얻게 될 전망이다.

소위 외지인이 원주민 삶을 결정하게 될 것이라는 불만에서 비롯한 소요 사태인 셈이다. 이번 법 개정으로 새로 투표권을 얻게 되는 유권자가 프랑스령으로 남기를 원할 가능성이 크다는 점이 원주민을 자극했다.

원주민인 카누크족은 프랑스로부터 독립을 원하고 있다. 2018년 이래로 세 차례 국민투표가 있었으나 모두 독립이 거부됐다.

인구 29만6000여 명의 누벨칼레도니는 1853년 프랑스 식민지가 됐다. 프랑스 정부가 의도적으로 백인을 이주시키면서 현재 카나크 원주민 비율은 인구 40%에 불과하다. 유럽 출신 이주민 비율은 25%에 달한다.

☞공감언론 뉴시스 ddingdong@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