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이집트, 구호트럭 가자지구로 이동 허용하기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바이든과 통화 후 발표…"케렘 샬롬 검문소로 이동 허용"

연합뉴스

굳게 닫힌 케렘 샬롬 국경 검문소 출입구
[로이터=연합뉴스.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이신영 기자 = 이집트가 팔레스타인 가자지구에 대한 인도적 지원을 위해 구호트럭이 자국 영토에서 가자지구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기로 했다고 미국 뉴욕타임스(NYT)와 AP 통신이 2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이집트 대통령실은 압델 파타 엘시시 이집트 대통령이 24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전화 통화에서 인도적 지원과 연료를 실은 트럭이 케렘 샬롬 검문소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이집트 대통령실은 가자지구 최남단 라파 검문소 재개방을 위한 방안이 마련될 때까지 임시적 조치라고 설명했다.

백악관에 따르면 바이든 대통령은 "이집트와 이스라엘 모두 수용할 수 있는 방안으로 검문소를 재개방하는 데 전념해왔다"며 "다음 주 카이로에 추가 논의를 위한 고위급 대표단을 보낼 계획"이라고 밝혔다.

연합뉴스

[그래픽] 이스라엘군, 가자지구 쪽 라파 국경검문소 장악
(서울=연합뉴스) 박영석 기자 = 이스라엘군이 가자지구 최남단 도시 라파 국경검문소의 팔레스타인 쪽 구역을 장악했다. 가자지구에서 이집트로 통하는 유일한 통로인 검문소를 장악함으로써 이스라엘군은 라파에 은신한 것으로 추정되는 하마스의 퇴로를 막는 동시에 라파 시가전이 초읽기에 들어갔음을 알렸다. 이스라엘군은 7일(현지시간) 아침 401기갑여단이 라파 국경검문소의 가자지구 쪽 구역을 장악했다고 밝혔다. zeroground@yna.co.kr X(트위터) @yonhap_graphics 페이스북 tuney.kr/LeYN1



이집트와 이스라엘 국경에 위치한 케렘 샬롬 검문소는 라파 검문소와 함께 가자지구로 국제 구호 물품이 반입되는 주요 통로였다.

하루 평균 300여대의 구호 트럭이 두 검문소를 통해 가자지구로 들어갔다.

그러나 이스라엘이 이달 초 라파 공격을 본격화하면서 사정이 달라졌다.

이스라엘이 라파 검문소를 장악하면서 구호품 반입이 급격히 감소했고, 유엔과 국제 구호단체 등은 가자지구에서 인도주의적 위기가 커지고 있다고 비판했다.

라파 검문소가 폐쇄됐을 당시 이집트 정부는 케렘 샬롬 검문소를 통한 구호품 반입도 보류했는데, NYT에 따르면 이는 라파에서 작전을 중단하도록 이스라엘을 압박하기 위한 조치로 여겨졌다.

이스라엘은 라파 검문소 장악 이후 구호품 반입 차질의 책임을 이집트로 돌렸다.

이스라엘은 라파 검문소를 계속 열어두고 있다며 이집트가 구호품 반입에 협조해야 한다고 주장해왔다.

AP 통신은 이집트가 구호트럭이 케렘 샬롬 검문소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기로 합의했지만, 라파에서 교전이 격화되면서 구호품 전달이 제대로 이뤄질지 미지수라고 전했다.

eshiny@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