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이슈 오늘의 사건·사고

수류탄 투척 훈련 재개 5년 만에 다시 터진 안전사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군부대 신병교육 때 진행하는 수류탄 투척 훈련의 안전성이 다시 도마 위에 오르게 됐습니다.

잦은 수류탄 사고 때문에 수류탄 투척 훈련이 중단됐다가 재개된 지 5년 만에 다시 안전사고가 발생했습니다.

군 당국은 잊을 만하면 되풀이되던 수류탄 사고를 막기 위해 안정성이 향상된 수류탄을 보급하는 등 대책을 강화했지만, 훈련 도중 수류탄 폭발의 위험성은 여전하다는 지적입니다.

오늘(21일) 오전 9시 50분쯤 세종시에 있는 육군 제32보병사단 신병교육대에서 신병 교육훈련의 하나인 수류탄 투척 훈련 도중 수류탄이 터져 A(20대) 훈련병이 숨졌습니다.

훈련병이 안전핀을 제거한 수류탄을 던지지 않았고, 이에 대응해 조치하는 과정에서 소대장 B(30대)씨도 다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최근 30년간 수류탄 투척 훈련 도중 발생한 폭발 사고는 모두 7건으로, 9명이 사망했고 12명이 다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2014년 9월 경북 포항의 한 해병대 부대에서 수류탄 투척 훈련 도중 갑자기 수류탄이 터져 1명이 사망하고, 2명이 다쳤습니다.

지시를 따른 훈련병이 안전핀을 뽑고 던지려는 순간, 손에 있던 수류탄이 폭발했습니다.

2015년 9월 11일 대구의 한 육군 신병교육대에서도 수류탄 투척 훈련 도중 훈련병이 들고 있던 수류탄이 갑자기 터져 3명의 사상자가 발생했습니다.

국방부는 이후 두 사고를 일으킨 수류탄이 같은 생산 라인에서 만들어진 것을 확인하고 동일 제품 5만 5천여 발을 전량 회수해 조사를 벌였으나 끝내 명확한 원인을 찾지는 못했습니다.

군은 대구 사고 이후 전군을 대상으로 신병교육대 수류탄 투척 훈련을 중지시키고, 수류탄 개량화, 구체적인 훈련지침, 안전대책 등을 보강한 뒤 2019년부터 재개했습니다.

군 당국은 안전핀을 뽑더라도 바로 폭발하지 않도록 신관을 장착한 수류탄을 개발해 보급에 나섰습니다.

이와 함께 수류탄 안전핀을 뽑을 때 작동 사실을 쉽게 알아볼 수 있는 부품을 추가하거나, 수류탄 표면에 미끄럼방지 무늬를 부착하는 등 사용자 편의성과 안전성을 높였습니다.

그러나 이번 사고로 수류탄 자체의 문제 외에도 투척 훈련의 위험 요인 통제 등에서 여전히 인명피해의 가능성이 남아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옵니다.

군 당국은 목격자 등을 상대로 A 훈련병이 오늘 즉각 수류탄을 던지지 않은 이유 등을 조사하는 한편, 이날 훈련에 사용됐던 수류탄의 종류와 안전장치 여부 등도 확인하고 있습니다.

육군 관계자는 투척 훈련에 사용된 것은 경량화 세열수류탄으로 폭발 위험을 줄인 신형으로 파악됐다며, 경찰과 함께 자세한 사고 경위를 조사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류희준 기자 yoohj@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