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이슈 질병과 위생관리

“왜 튀겨요 그걸…” 녹말 이쑤시개 제조업체 사장의 한숨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조선일보

녹말 이쑤시개를 튀겨 먹는 모습. /온라인 커뮤니티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최근 소셜미디어에서 녹말 이쑤시개를 튀겨 먹는 영상이 유행한 가운데, 녹말 이쑤시개 제조업체 사장이 직접 “튀겨먹지 말라”고 주의하고 나섰다.

녹말 제조업체 사장 A씨는 29일 공개된 ‘스브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한숨을 푹 내쉬며 “식용 용도로는 저희가 일체 생각도 안 했고, 전혀 고려도 하지 않고 생산했기 때문에 (유행이) 어이가 없다”고 했다.

A씨는 “녹말 이쑤시개는 위생용품이다. 위생용품이 먹는 건 아니지 않느냐”고 했다. 이어 “녹말 이쑤시개가 친환경 제품이라서 쓰고 나서 버리면 불거나 흐물흐물해져서 저절로 분해가 되고, 동물들이 섭취했을 때 전혀 문제가 없다”며 “여기에 포커스를 맞춰 생산한거라서 지금처럼 사람이 튀겨 다량 섭취할 경우에는 무슨 문제가 생길지 모른다”고 했다.

A씨는 녹말 이쑤시개 먹기 유행으로 매출이 오르는 건 전혀 달갑지 않다고도 했다. A씨는 “소비가 늘어서 좋냐? 아니다. 저희 입장에서는 전혀 안 그렇다”며 “그렇게 소비가 늘어나는 건 반갑지 않다”고 했다. 그는 “물론 먹어도 상관없는 성분들이 거의 100%라서 이쑤시개를 사용하다가 실수로 조금 먹는 건 괜찮다”면서도 “하지만 대놓고 튀겨 먹고, 삶아 먹고 이런 용도로는 사용하지 말아달라”고도 했다.

조선일보

녹말 이쑤시개 제조업체 사장이 한숨을 푹 내쉬며 "섭취 유행으로 소비가 늘어나는 건 반갑지 않다"고 말했다. /스브스뉴스 유튜브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앞서 인스타그램과 유튜브 등에서는 녹말 이쑤시개를 먹는 영상이 유행했다. 튀기거나 삶은 뒤 여기에 소스 등 조미료를 가미해 섭취하는 방식이다. 녹말 이쑤시개가 식용 재료로 만들어져 요리해 먹어도 문제가 없다는 인식에서 시작됐다. 실제로 녹말 이쑤시개의 주재료는 대부분 옥수수나 감자녹말로, 색소와 점도를 높이기 위한 마와 청량감을 주는 소르비톨 등이 미량 포함되지만 모두 식용할 수 있다.

구독자 약 420만명을 보유한 유명 유튜버는 녹말 이쑤시개를 튀겨 먹어본 뒤 “원래는 아주 딱딱한데, 튀기니까 엄청 부드럽게 씹혀서 사라졌다”며 “약간 쌀 튀김 맛이 난다”고 했다. 삶은 녹말 이쑤시개를 먹고는 “쫀득쫀득한 맛은 있는데, 엄청 질긴 젤리를 먹는 듯한 느낌”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소스 없이 먹을 때는 느낌이 엄청 이상했는데, 매운 소스를 같이 먹으니까 의외로 먹을 만하다”고 했다.

다만 애초 녹말 이쑤시개가 ‘식용’ 용도로 나온 게 아니기 때문에 섭취를 자제해야 한다는 의견이 전문가 사이에서는 지배적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 역시 보도자료를 내고 “녹말 이쑤시개는 식품이 아닌 위생용품”이라며 “식품으로서 안전성은 검증된 바 없다. 섭취하지 말라”고 했다.

조선일보

식약처가 녹말 이쑤시개를 섭취하지 말라며 배포한 이미지. /식약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박선민 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