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이슈 우리들의 문화재 이야기

예천 '입학도설·맹자언해' 경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의성김씨 남악 종가 기탁한 성리학 입문서와 금속활자본

연합뉴스

맹자언해
[경북 예천군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예천=연합뉴스) 김선형 기자 = 경북 예천군은 예천박물관 소장 유물인 '입학도설'(入學圖說)과 '맹자언해'(孟子諺解)가 경상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됐다고 8일 밝혔다.

입학도설은 고려 말에서 조선 초기 문신이자 학자인 권근(1352∼1409)이 저술한 책으로 성리학을 처음 공부하는 사람을 위한 입문서다.

맹자언해는 1590년 교정청에서 편집·간행한 언해본(諺解本)으로 금속활자인 '을해자체경사자'로 간행됐다. 한자음에 방점이 있고 언해문 중 'ㅿ'와 'ㆁ' 표기를 보여주는 국내 마지막 문헌이다.

두 문헌 모두 의성김씨 남악 종가가 기탁한 자료다.

'금곡서당 창립회문' 등 남악 종가가 소장한 전적 8종 14책이 2019년 경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된 바 있다. 이번에 유형문화재로 지정되는 자료까지 추가하면 남악 종가의 10종 16책이 경북도 유형문화재가 된다.

하미숙 예천군 문화관광과장은 "입학도설과 맹자언해가 역사적, 학술 가치를 인정받았다"라면서 "이른 시일 내 두 문헌을 연구하고 전시에 활용할 수 있는 교육 자료까지 만들어내 많은 분이 향유할 수 있도록 하겠다"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신규 문화재로 지정된 '입학도설'
[경북 예천군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sunhyung@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