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그것이 알고 싶다! AI 시대에 던진 궁금증들 [SDF다이어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AI 시대에 어떤 질문이 필요할까?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023년이 이제 일주일 남았습니다. 지난달 SDF2023을 치러 낸 미래팀은 일 년의 여정을 돌아보고, 의미를 발견하고, 보람을 느끼며, 한 해를 마무리하고 있습니다. 한편으로는, 내년에 어떤 주제와 이야기들로 포럼을 채울지 논의하기 시작했는데요. 새로운 주제를 논의 테이블에 올리기 전, 올해 포럼에서 모인 질문을 정리해 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행사장에 오셨던 분들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 지나쳤을 이 공간, 기억하시나요? 포럼 참석자의 생각과 고민을 함께 나누기 위해 마련한 '질문존'입니다. 'AI 시대에 어떤 질문이 필요할까?' 올해 저희가 던진 질문의 제목인데, 이 질문에 대해 1백20여 명의 참가자가 정성껏 답변을 작성해 주셨습니다. 어떤 질문을 남겨주셨을까요?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AI의 감정과 관련된 질문이 유독 많았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최근 유럽연합(EU)이 AI 규제 법안을 합의하는 과정에서도 AI의 '감정 인식'은 핵심 이슈 중 하나였습니다. EU의 AI 규제법은 사람의 감정을 인식하는 AI 기술이 교육기관 등에서 활용되는 것을 허용하지 않기로 했습니다. 감정 인식을 매우 위험한 AI 기술로 판단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우려가 큰 만큼 기대와 관심 또한 상당한 것 같습니다. SDF 참가자들은 인간과 감정을 교류할 수 있는 AI 기술에 큰 흥미를 보이며, 긍정적인 측면에서 AI의 감정 인식 기술 활용을 기대하는 질문을 던졌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올해 포럼의 주제가 'AI 시대, 다시 쓰는 경제 패러다임'인 만큼, 달라지는 돈의 흐름, 부의 기준에 대한 질문을 던진 분들도 적지 않았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부와 관련된 질문들은 포럼을 준비한 미래팀원들도 미처 생각지 못한 참신한 궁금증이 정말 많았는데, 일례로 'AI야 복권에 당첨될 수 있을까... 당첨번호 좀...'이란 재미있는 질문을 남겨주신 참가자도 계셨습니다.

한편, 부와 경제 관련 질문의 이면에는 대체될 일자리, 노동 환경 변화에 대한 우려가 공존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무거운 마음으로 질문을 하나씩 곱씹어봅니다. AI와 경제를 포럼 주제로 잡고 논의하는 과정에서 저희 팀원들이 가장 걱정했던 것도 바로 이 소득과 일자리 문제였습니다. 이 문제의 해법을 어떻게 찾을 수 있을지 고민했고, 고민을 나누고자 올해 포럼 오후 세션의 시작을 AI 시대 일자리 문제로 열었습니다. 내용이 궁금한 분은 SDF 유튜브 공식채널에서 가이 스탠딩 교수님과 이승윤 교수님의 강연 영상을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SDF는 50대 이상의 참가율도 높은 편입니다. 특히, 시니어 참석자들이 마지막 세션까지 자리를 지키며 포럼에 귀 기울이는 모습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는데요. 포럼을 기획하고 운영하는 입장에서 이런 시니어 참석자들의 진지한 모습은 무척 인상적이고 또 감동적입니다.

AI라는 경험 해보지 못한 기술은 올해 포럼에 귀 기울인 시니어들에게 풀어야 할 숙제가 됐던 것 같습니다. 앞으로 어떻게 살아가야 할지, 생존과 적응의 고민이 담긴 이들의 질문이 눈에 띄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강연장 바로 옆에 마련된 체험존에서 참가자 인터뷰를 할 때, 한 60대 어머니께서 이런 이야기를 했던 기억이 납니다.

"내가 AI 시대에 적응해서 살려면 무슨 공부를 해야 하지? 돌아가서 뭘 해야 하지? 이런 생각을 했어요. 그래서 요새 문맹은 (문자가 아니라) 컴퓨터 모르는 컴맹이고, AI를 모르면 앞으로 살아가기 어려울 것 같아요. 그래서 '무슨 공부를 할까' 이 생각을 하고 포럼을 보려고 합니다." (박은자 님, 64세)

AI 시대 생존 전략을 고민하는 시니어들에게 SDF가 조금이나마 도움이 됐길 바랍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AI의 끝은 어디일지, AI 이후에는 무엇이 있을지 궁금해하는 질문들이 있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SDF2023의 기조연사였던 아니마 아난드쿠마르 박사는 강연에서 "AI는 일시적 유행이 아니다"라고 밝혔습니다. AI 기술은 앞으로도 거듭 진화해 앞으로 나아갈 것이고, AI와 함께 미래를 살아갈 우리는 진보하는 AI에 적응할 방법을 찾아야 한단 조언이었습니다.

지난달 출간된 책 《세계미래보고서 2024-2034》의 저자들은 이르면 10년 안에 인간과 동등한 수준의 지능을 가진 AGI(Artificial General Intelligence), 이른바 일반인공지능이 등장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젠슨 황 엔비디아 CEO는 이보다 빠른 5년 내,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는 3년 내 AGI의 등장을 예상하기도 했고요. 물론, 3년이나 5년이란 전망은 틀렸다, 예상보다 더 오래 걸릴 수 있단 반박도 나왔기 때문에 그 시기를 단정할 수 없습니다. 분명한 건 AGI 시대가 눈앞에 다가왔고, 피할 수 없을 걸로 보인다는 사실뿐이죠. 'What's next for AI?' 이 질문을 던지며 이번 주 SDF 다이어리를 마무리합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올해 포럼 참석자를 대상으로 진행된 설문조사 항목 중에는 내년 SDF에서 다뤘으면 하는 주제를 남겨달라는 질문이 있었습니다. 많은 분들이 다양한 분야에서 참신한 주제를 꼽아 주셔서 흥미롭게 정독했습니다. 우주기술패권, 감성 컴퓨팅, 미래산업구조변화, 자국보호주의, 자원순환, 인간소외 등등. 전해주신 귀한 의견들 적극 반영해, 내년 포럼 주제를 찬찬히 잡아나가 보겠습니다. (글: 미래팀 이혜미 기자 param@sbs.co.kr)

이 기사는 매주 수요일 아침 발송되는 뉴스레터, 'SDF다이어리'에 먼저 소개됐습니다. 'SDF다이어리'는 SBS D포럼을 준비하는 SBS 보도본부 미래팀원들이 작성합니다. 우리 사회가 관심 가져야 할 화두를 앞서 들여다보고, 의미 있는 관점이나 시도를 전합니다. 한 발 앞서 새로운 지식과 트렌드를 접하고 싶으신 분들은 SDF다이어리를 구독해 주세요.


미래팀 sdf@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