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1 (토)

이슈 증시와 세계경제

세계 첫 노트북 출시…日 기술의 아이콘, 도쿄증시서 사라진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도시바, 회계 부정·원전 투자 실패 등 경영파탄
JIP 컨소시엄 공개매수 성립, 매수총액 2조엔 추산…
연내 상폐 후 재상장 구상이나 수익력 회복 불투명

머니투데이

/로이터=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일본 대표 전자 제조 업체인 도시바가 78년 만에 도쿄증시에서 사라질 전망이다. 일본 투자펀드인 일본산업파트너즈(JIP)의 도시바 인수를 위한 주식공개매수가 성립되면서다. 도시바는 앞서 회계 부정 논란, 미국 원자력발전소(원전) 투자 손실로 위기에 빠져 경영 재편을 모색해 왔다.

21일 니혼게이자이(닛케이)신문에 따르면 도시바는 지난달 8일부터 전날까지 주식 공개매수 절차를 진행한 결과 JIP가 이끄는 컨소시엄이 회사 전체 주식의 78.65% 매수에 응모해 공개매수가 성립됐다고 발표했다. 공개매수 성립 기준은 응모 주식이 전체 주식의 3분의 2(66.7%)를 넘어야 한다. 공개매수 가격은 주당 4620엔(약 4만1737원)으로, 매수총액은 2조엔(18조782억원)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주식 공개매수 성립에 따라 도시바는 오는 11월 임시 주주총회를 열고, 전제 주식 보유를 위한 스퀴즈아웃(주식 강제 매입)을 진행해 연내 상장 폐지를 추진할 것이라고 닛케이는 전했다. 사마다 다로 도시바 사장 겸 최고경영자(CEO)는 이날 성명에서 "이제 도시바는 새로운 주주와 함께 새로운 미래를 향한 중요한 발걸음을 내딛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도시바의 연내 상장 폐지가 이뤄지면 도시바는 도쿄증권거래소가 재개장한 1949년 5월 이후 78년 만에 도쿄증시에서 사라지게 되는 것이다. 비즈니스 자문업체인 유로테크놀로지 재팬의 게르하르트 파솔 CEO는 BBC 인터뷰에서 "(상장폐지 등) 도시바의 재앙은 최고 경영진의 부적절한 기업 지배구조가 초래한 결과"라고 평가했다. JIP 측은 도시바의 상장폐지 후 기업가치를 올려 재상장한다는 구상을 가진 것으로 전했으나 수익력 회복의 길은 불투명하다고 닛케이는 지적했다.

머니투데이

21일 기준 최근 1년 간 일본 도쿄증시의 도시바 주가 추이 /사진=인베스팅닷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1875년 장비제조업체로 시작한 도시바는 가전제품부터 원전까지 다양한 사업부를 보유한 일본 대표 기업이었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수십 년 동안 일본 경제회복과 기술 산업의 상징이기도 했다. 1985년에는 전 세계 최초로 노트북을 출시하기도 했다. 하지만 지난 2015년 회계 부정 사실이 드러나면서 회사는 내리막길을 걷기 시작했다. 당시 도시바는 2008년 4월부터 2014년 말까지 영업 등에 들어간 비용은 축소하고 매출이익을 부풀리는 방식으로 세전 이익을 실제보다 2248억엔(현재 환율로 약 2조원) 높여 기재하는 회계 부정을 저질러 일본 역사상 최대 규모인 벌금 73억7700만엔을 납부했다.

이듬해인 2016년 말에는 미국 원전 자회사인 웨스팅하우스가 거액의 손실을 내면서 경영파탄에 빠졌다. 이로 인해 도시바는 2년 연속 채무초과로 상장폐지 위기에 놓였다. 회사는 상장폐지 위기를 모면하고자 2017년 60개 해외 투자펀드로부터 600억엔의 대규모 증자를 받았다. 그러나 이는 도시바의 경영 혼란을 가중하는 악재로 작용했다.

증자에 참여한 많은 해외 펀드 대주주들과 도시바 측이 격렬하게 대립하면서 회사 경영에도 차질이 생겼다. 이에 도시바는 경영 구조 재편을 모색했다. 2021년부터 해외 투자기업과의 인수 협상이 시작됐으나 회사가 보유한 방위사업체의 해외 매각 제한 등 여러 걸림돌에 부딪히며 모두 무산됐다. 그러다 올해 3월 도시바 이사회가 JIP 컨소시엄의 인수 제안을 수락하면서 인수 작업에 속도가 붙였다.

정혜인 기자 chimt@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