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청계천을 찾은 직장인들이 다닥다닥 붙어앉아 봄을 즐기고 있다.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면역 저하 시기가 돌아오는 6월엔 확진자가 확 늘어나겠죠. 코로나19로 인한 사망자도 매년 나올 겁니다. ”(엄중식 가천대 길병원 감염내과 교수)
코로나19 발생 3년 4개월 만에 정부가 완전한 일상회복 전환을 공식 선언한 가운데 엄 교수를 비롯한 감염병 전문가들은 엔데믹 선언을 팬데믹의 완전한 ‘종식’으로 이해해선 안 된다고 강조한다. 계절성 인플루엔자(독감)처럼 매년 크고 작은 코로나19 유행이 이어질 것이며 이르면 향후 2~3년 안에 또 다른 팬데믹이 인류를 위협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
면역 떨어진 6월, 하루 4만명 확진자 나올 수도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
전문가들은 변이 바이러스와 면역 저하 등을 이유로 당장 6월에 코로나19 확진자가 소폭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엄 교수는 “자연 감염과 백신 접종으로 생긴 면역이 짧게는 3개월, 길게는 6개월까지 유지된다”며 “7차 유행의 정점 시기를 고려하면 6월에 예방효과가 떨어지면서 소규모 유행이 다시 올 것”이라고 말했다.
방역당국은 국내에서 우세종이 된 XBB 계열 변이 바이러스 등의 영향으로 6월 초 적게는 2만6000명에서 많게는 3만~4만명 수준의 일일 확진자가 발생할 것으로 전망한다. 현재(1만5000명~2만명)와 비교하면 2배 수준이다. 엄 교수는 “검사를 받지 않는 숨은 감염자를 고려하면 예상치의 2배 정도로 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다만 확산 세가 이어지더라도 국민 전체를 대상으로 한 방역 강화 조치는 불필요하다는데 대체로 의견이 일치했다. 이상원 중앙방역대책본부 역학조사분석단장은 전날 브리핑에서 “변이에 따라서 환자의 증감은 계속될 것이지만 아직 우리나라 의료가 이걸 충분히 뒷받침할 수 있는 힘이 있어 대응에는 문제가 없다고 판단한다”고 말했다. 김동현 한림대 의대 예방의학과 교수는 “일반인에 대한 방역 조치는 다시 돌아가기 어렵다. 기본적인 개인위생을 제외하고는 고위험군 보호 중심으로 가야 한다”고 조언했다. 엄 교수는 “동네 병원에선 마스크 착용 의무가 사라지는데 고위험군이 장시간 머물러야 하는 혈액투석실 같은 곳은 의무로 남겨둘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
“지금은 인터 팬데믹 기간…다음 팬데믹 대비해야”
정부가 6월부터 코로나19 위기 경보를 '심각'에서 '경계'로 조정하기로 결정한 11일 서울역 임시선별검사소가 한산하다.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전문가들은 코로나19 엔데믹 선언으로 넥스트 팬데믹 대응 의지가 꺾이고 있는 점을 가장 우려했다. 김 교수는 지금의 시기를 ‘인터팬데믹(Interpandemic, 팬데믹과 팬데믹 사이)’ 기간으로 정의했다. 그는 “일종의 팬데믹 휴지기다. 코로나19 3년간의 과정을 복기하면서 중장기 계획을 짜고 향후 2~3년 안에 다시 닥쳐올 가능성이 높은 또 다른 팬데믹을 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질병청에 따르면 신종감염병 발생 주기는 점점 짧아지고 있다. 2003년 사스(SARSㆍ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를 시작으로 2009년 신종플루, 2015년 메르스(MERSㆍ중동호흡기증후군)까지는 각각 6년의 텀이 있었지만 4년 만인 2019년 코로나19가 발생하면서 다음 팬데믹 주기가 짧아질 수 있다는 경고가 나온다.
엄중식 교수는 “다음 팬데믹에 대비하기 위해선 인력과 예산이 필요한데 다른 정부 부처에선 코로나19가 다 끝났다고 인식하다 보니 도움을 줄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그는 “감염병 대비는 전쟁이 일어나지 않아도 군대를 키우는 것과 같다. 이번에는 기적적으로 막아냈다고 해도 다음 팬데믹에는 다른 국가들처럼 대규모 피해를 볼 수 있다”고 말했다. 김동현 교수는 “팬데믹 기간 민간 의료기관 동원에 한계가 있다는 점이 반복적으로 확인됐다. 공공 의료기관이 팬데믹에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게 하는 것이 시급한 해결 과제”라고 말했다.
이우림 기자 yi.woolim@joongang.co.kr
▶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