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18 (토)

이슈 취업과 일자리

"마이스터고 졸업해도 일자리 없어"…졸업생 41%만 지역 정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유망 분야 일자리 많은 경기도로 '쏠림'…"비수도권 좋은 일자리 필요"

연합뉴스

'2022학년도 부산직업교육박람회' 개최
지난해 11월 7일 부산 해운대 벡스코에서 열린 '2022학년도 부산직업교육박람회'에서 목공예 체험하는 특성화고·마이스터고 학생들 [연합뉴스 자료사진]



(세종=연합뉴스) 김수현 기자 = 지속적인 청년 인구 유출로 지역 소멸 위기가 심화하는 가운데 정부가 기술 인재 양성을 위해 육성한 마이스터고 졸업생도 2명 중 1명만이 학교 소재지역이나 권역에 정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의 '직업계고 졸업생의 지역 정착' 보고서를 보면 2021년 직업계고 졸업생 1천450명을 조사한 결과 마이스터고 졸업생은 학교 소재 권역 정착률이 56%에 그쳤다.

특성화고 정착률(84%)보다도 30%포인트 가까이 낮았다.

수도권, 강원권, 충청권, 호남권, 영남권(마이스터고가 없는 제주권 제외) 모두 마이스터고 출신의 정착률이 특성화고 출신보다 낮았다.

권역별로 보면 수도권에서 마이스터고 정착률이 80%로 가장 높았다.

강원권은 마이스터고 정착률이 28%로 가장 낮았다.

충청권은 50%, 호남권 47%, 영남권 55%로 나타났다.

시·도별로 쪼개 보면 마이스터고 졸업생의 정착률은 41%로 더 떨어졌다. 같은 권역 내에서 이동해 정착하는 비율이 빠진 탓이다.

연합뉴스

동일 권역 정착률
[한국직업능력연구원 제공]


동일 지역 정착률이 가장 높은 지역은 경기(63%), 부산(59%), 서울(57%) 순이었다.

반면 전북(15%), 광주(18%), 충북(23%) 차례로 정착률이 낮았다.

지역을 떠난 마이스터고 졸업생이 주로 향하는 곳은 경기였다.

경기는 부산을 제외한 모든 시·도의 마이스터고 졸업생들의 정착지 2순위 내에 드는 것으로 확인됐다.

인천, 강원, 충북, 전북에서는 마이스터고 졸업생의 경기 정착 비율이 가장 높았다.

연합뉴스

마이스터고 졸업생의 시·도별 이동성
[한국직업능력연구원 제공]


마이스터고는 신기술 유망 분야 인재를 중점적으로 육성하는 학교다.

특성화고는 체험형 교육과정 위주로 운영돼 졸업생들이 취업 못지않게 진학도 많이 하지만 마이스터고는 실무형 교육과정을 강조하기 때문에 졸업 후 대부분 해당 분야에 취직한다.

마이스터고의 동일 권역·지역 정착률이 떨어지는 것은 유망 분야 일자리가 지방에 많지 않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다.

최수현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부연구위원은 "고졸 취업자의 지역 정착을 늘리기 위해서는 비수도권의 좋은 일자리 조성에 각별히 노력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porque@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