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5 (토)

이슈 김정은 위원장과 정치 현황

김정은 "美가 노리는 건 정권 붕괴"…北, 핵무기 전력 법제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김정은, 최고인민회의 시정 연설 통해 "핵을 포기할 수 없다"

한국 정부 향해선 "억제력·대응력 높인다 떠들며 군사긴장만 더 야기"

아시아경제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이기민 기자] 김정은 북한 노동당 총비서가 비핵화 관련 제재·미국의 궁극적 목적은 정권 붕괴라며 핵 포기는 없다는 뜻을 강하게 밝혔다. 특히 북한은 최고인민회의에서 핵무기 전력(핵무력)을 법제화하고 도발 원점에 핵 타격을 자동으로 단행하겠다는 뜻도 분명히 했다.

9일 조선중앙통신에 따르면 김 총비서는 전날 최고인민회의 제14기 제7차 회의 시정연설에서 "미국이 노리는 목적은 우리의 핵 그 자체를 제거해버리자는데도 있지만 궁극적으로는 핵을 내려놓게 하고 자위권행사력까지 포기 또는 렬세하게 만들어 우리 정권을 어느 때든 붕괴시켜버리자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미국이 사상 최대의 제재 봉쇄를 통해 핵 포기를 기도하고 있지만 "천만에 이것은 적들의 오판이고 오산"이라며 "백날, 천날, 십년, 백년을 제재를 가해보라 하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나라의 생존권과 국가와 인민의 미래의 안전이 달린 자위권을 포기할 우리가 아니며 그 어떤 극난한 환경에 처한다 해도 미국이 조성해놓은 조선반도의 정치군사적 형세하에서, 더욱이 핵적수국인 미국을 전망적으로 견제해야 할 우리로서는 절대로 핵을 포기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미국이 북한을 향해 적대 정책을 펼쳐 고통의 시간이 길어지고 있지만 자신들의 절대적 힘은 가속적으로 강화돼 미국의 안보 위협도 커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북한은 이날 최고인민회의 법령을 통해 핵무력 사명, 구성, 지휘통제 등 핵무력 정책 등을 규정했다. 김 총비서는 "우리의 핵을 놓고 더는 흥정할 수 없게 불퇴의 선을 그어놓은 여기에 핵무력정책의 법화가 가지는 중대한 의의가 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핵정책이 바뀌자면 세상이 변해야 하고 조선반도의 정치군사적 환경이 변해야 한다"며 "절대로 먼저 핵포기란, 비핵화란 없으며 그를 위한 그 어떤 협상도, 그 공정에서 서로 맞바꿀 흥정물도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윤석열 대통령의 한반도 비핵화 로드맵 '담대한 구상'에 응할 뜻이 전혀 없음을 거듭 밝힌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가장 중요하게는 우리 핵무력의 전투적신뢰성과 작전운용의 효과성을 높일수 있게 전술핵운용공간을 부단히 확장하고 적용수단의 다양화를 더 높은 단계에서 실현하여 핵전투태세를 백방으로 강화해나가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반도 유사시 미군, 한국 핵심시설 등을 타격할 수 있는 다양한 전술핵무기를 개발하겠다는 뜻으로 보인다.

김 총비서는 2만자에 가까운 시정연설을 통해 핵무력, 경제, 보건 등 북한 상황에 대해 설명했지만 한국에 대해서는'남조선 현정권'으로 표현하면서 "'한미련합방위태세를 강화한다느니, 이른바 '한국형3축타격체계'를 구축해 '억제력'과 '대응력'을 높인다느니 떠들면서 지역의 군사적긴장을 더 야기시키는 위험한 군사행동과 군비현대화놀음을 본격화하고 있다"고만 비난할 뿐 거의 언급하지 않았다.

이기민 기자 victor.lee@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