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광장시장 간 유인촌 "걱정하면서 왔다" 바가지 요금 논란 직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광장시장 방문해 논란된 모둠전 가격 점검 등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서울 광장시장을 방문해 "인식을 전환해야 한다"라고 일침을 가했다.

아시아경제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14일 연합뉴스는 유 장관이 관광 수용 태세 점검차 광장시장을 둘러본 뒤 "광장시장은 외국인들이 들렀다 가는 대한민국 대표 선수가 됐으니 적당히 장사하는 곳으로만 생각해선 안 된다"며 "상인들도 단순히 빈대떡만 파는 게 아니라, (음식 등) 우리 문화를 파는 곳이란 인식의 전환을 해야 한다"라고 당부했다고 보도했다.

유 장관은 상인회 관계자를 비롯해 종로구청장과 서울시 관계자를 만나 바가지요금 논란이 재발하지 않도록 인식 개선과 자정 노력을 강조했다. 그는 "최근 언론에 광장시장에 대한 (바가지요금) 얘기가 나와 걱정하면서 왔다"며 "겉으론 정비도 잘 돼 있고 (먹거리) 노점 직원들이 유니폼 같은 격식도 갖춰 안정돼 있는 것 같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결국 내용이 문제인데 어려움은 있겠지만 친절, 가격 대비 양 같은 불협화음이 나는 부분을 상인회 등이 관리하고 교육해야 한다"라고 꼬집었다.

아시아경제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최근 '바가지 논란'이 일었던 광장시장을 방문했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날 유 장관은 강정 가게, 잡화가게, 빈대떡집 등을 방문해 상인들과 반갑게 인사하며 결제 시스템과 용량 표기, 한국을 소개하는 각종 상품에 대한 의견을 나눴다. 빈대떡집에서는 모둠전을 주문하고는 "이렇게 나오면 얼마인가"라고 가격을 직접 확인하기도 했다. 광장맥주, 전통 문양 와펜 등을 파는 기념품 가게에서는 "기념품이 이렇게 바뀌어야 한다. 다 같으면 안 된다"라고 격려했다.

유 장관은 "외국에 가면 사람 사는 모습, 그곳의 바닥을 다 볼 수 있는 재래시장에 가보지 않나"라며 "광장시장도 외국인들이 검색해 찾아오는 곳이니 상인들의 생각이 굉장히 중요하다. 가격 대비 좋은 음식이 제공되고 안전하고 편안한 곳으로 유명해지면 전 세계에서 다 오지 않을까"라고 말했다.

과거 포목과 한복 등이 주를 이뤘던 광장시장은 최근 MZ세대의 '핫 플레이스'를 넘어 K-푸드를 체험하려는 외국인들의 대표 관광 코스로 자리 잡았다. 상인회는 외국인 관광객 가운데 일본인이 50%, 중국인이 20~30%를 차지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른바 '바가지요금 논란'도 연이어 터져 나왔다. 일부 유튜버들이 부실하게 구성된 1만5000원짜리 모둠전이나, '믹스 만두' 등 외국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한 상술을 고발해 누리꾼들의 공분을 사기도 했다.

이를 두고 광장시장 상인회 관계자는 "문제가 된 노점 등에는 일정 기간 영업 정지를 하는 등 조치를 했다"며 "또한 먹거리 노점 음식을 소개하는 QR 메뉴판을 도입하고, 가판대에서도 카드 사용이 되도록 추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종로구청과 상인회가 7월 말 도입하는 다국어 QR 메뉴판은 노점별 테이블 위 QR을 찍으면 판매 메뉴 등을 20개국 언어로 소개한다. 종로구청 관계자는 "실제 음식 사진을 제공하고 가격도 정확하게 표기되도록 준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구나리 인턴기자 forsythia26@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