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6 (화)

이슈 차기 대선 경쟁

‘혐중정서’ 올라탄 여야…정의당 “‘조선족 혐오’부터 그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겨레

4일 오후 중국 베이징 국립경기장에서 열린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회식에서 치마저고리를 입고 댕기 머리를 한 여성이 개최국 국기 게양을 위해 중국의 오성홍기를 옮기고 있다. 베이징/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022 중국 베이징 겨울올림픽 개회식에 등장한 ‘한복 입은 여성’이 문화공정 논란으로 옮겨붙자, 여야 대선 후보들이 중국을 겨냥한 날선 반응을 내놨다. 중국의 역사 왜곡·김치 원조 논란 등을 거치며 누적된 국민들의 불만이 폭발한 상황과는 별도로, 선거를 한달 앞둔 대선 후보들이 반중정서를 업고 경쟁적으로 자극적인 발언을 내놓는 데 대한 비판이 나온다.

올림픽 개회식이 열린 4일 밤 페이스북에 “문화를 탐하지 말라 문화공정 반대”라는 짧은 글을 올린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는 5일 기자들과 만나 “중국이 대국으로서 이래야 하는지 납득하기 어려운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며 “축제의 시기를 문화공정 시기로 이용하는 것이 아닌지 중국 정부는 답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중국 정부가 과거에 역사 공정을 통해 대한민국 국민들의 자존심을 훼손한 사례가 있다. 그 후에도 계속 동해안, 서해안에 불법 어선을 방치해서 대한민국 국민, 특히 어민의 분노를 사게 한 일이 있다”며 “김치, 한복, 심지어 특정 세계적인 스타 연예인이 어디 출신이다, 이런 얘기까지 할 정도로 지금 문화공정이라고 하는 것이 심각하게 우리의 자존심을 훼손하고 있다”고도 말했다. 이례적으로 강경한 어조로 중국을 비판한 것이다.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도 이날 오후 제주 해군기지가 있는 강정마을을 방문해 기자들과 만나 “고구려와 발해는 대한민국의 자랑스럽고 찬란한 역사”라며 “(고구려와 발해 역사는) 남의 것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고구려사와 발해사를 중국사로 편입시키기 위해 중국이 추진했던 ‘동북공정’을 비판한 것이다.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도 이날 페이스북에 “중국 당국에 말한다. 한푸(漢服)가 아니라 한복(韓服)이다”라며 중국 비판 대열에 합류했다. 앞서 중국 최대 포털 누리집인 바이두 백과사전이 “한복은 한푸에서 기원했다”고 주장하는 등 중국에서 한복 중국 원조론이 거듭 제기되는 것은 겨냥한 발언이다.

하지만 국가의 최고 지도자를 희망하는 후보들로서 무책임한 반응이라는 지적이 제기된다. 하남석 서울시립대 교수(중국어문화학과)는 6일 <한겨레>와의 통화에서 “‘사드 보복’ 조처 등으로 중국을 향해 고조돼온 불만이 ‘한복’을 계기로 터져 나온 건 일견 이해할 만한 측면이 있다. 하지만 일국의 대통령을 꿈꾸는 정치인들이 민감한 외교 문제에 대한 고려 없이 그저 표를 얻기 위해 혐오 정서에 잽싸게 올라타는 태도는 옳지 않다”고 짚었다.

한겨레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와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 후보 페이스북 갈무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정의당도 이들 세 후보의 강경한 반응과 달리 “중국 동포들의 입장에서 생각해보자”며 다른 목소리를 냈다. 강민진 청년정의당 대표는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이번 사건은 중국의 반복된 역사 왜곡 논란의 맥락 위에서 민감해진 사안이라고 생각한다. 중국은 한복이 한푸에서 기원했다는 식의 문화 패권주의와 역사 왜곡을 반드시 중단해야 한다”면서도 “그러나 우리의 관점뿐 아니라 중국 국민으로 살아가는 우리 동포들의 입장이 되어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그는 “중국 국적을 갖고 중국 영토 내에서 살아가는 우리 동포들이 엄연히 존재한다. 한복은 우리의 것일 뿐 아니라 동포들의 것이기도 하며, 중국의 국민으로 살아가는 조선족 동포 역시 자신들의 문화와 의복을 국가로부터 존중받을 권리가 있다”고 짚었다. 이어 “정치권은 이른바 ‘조선족 혐오’ 부추기는 외국인 건강보험 논란을 일으키지 않는 것부터 해야 한다. 이주민에 대한 제도적 차별을 없애고 동등한 시민으로서 대우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 지금 대선후보들이 해야 하는 더 시급한 일이라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최하얀 이주현 기자 chy@hani.co.kr

벗 덕분에 쓴 기사입니다. 후원회원 ‘벗’ 되기
더불어 행복한 세상을 만드는 언론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주식 후원’으로 벗이 되어주세요!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