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첫째 데리고 집에만 있으라고?” 방역패스 강행에 임신부들 반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방역당국이 임신부에 대한 방역패스(접종증명·음성확인제) 예외를 인정하지 않겠다고 재차 밝히면서 논란이 커지고 있다.

20일 현재 임신‧출산 준비 온라인 커뮤니티, 청와대 청원 게시판 등에는 이에 반발하는 게시글이 다수 올라왔다.

상당수 임신부들은 태아에 부정적인 영향이 있을 것을 우려해 코로나 백신 접종을 미루고 있다. 방역당국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9일 기준 코로나 백신 1차 접종을 마친 임신부는 2087명(전체 임신부 중 1.5%)이고 2차 접종까지 마친 임신부는 1175명(0.84%)에 불과하다.

한 임신부는 지난달 9일 청와대 청원 게시판에 ‘임신부에게 백신을 강요하지 말아주세요’라는 제목의 청원글을 올렸다.

해당 청원인은 “현재 2살 아이와 뱃속에 5개월 된 두 소중한 아이의 엄마”라며 “현재 백신패스제가 도입되면서 임신부인 저에게 백신접종을 강요하는 상황이 찾아왔다. 임신부가 접종을 하여 발열증상이 있을 경우 당연히 태아에게 안 좋은 영향을 끼친다고 알고 있는데 이걸 강요하는 이 상황이 정말 맞는지 의문의 든다. 혹시 모를 태아에 안전을 위해 백신 접종을 늦추고 있는 제가 잘 못된 건가? 접종을 했을 때 태아가 잘못되면 국가에서 책임을 져주는 건가?”라고 했다.

이어 “백신패스가 적용되고 첫째 아이를 데리고 아이를 위한 수업과 식당조차 갈 수 없게 됐다. 첫째 아이를 위해서도 뱃속에 아이를 위해서도 아무것도 할 수 없는 엄마가 된 저는 어떻게 해야 하나”라며 “임신부에게 꼭 위험부담을 안고서도 백신을 맞으라고 국가에서 국민에게 권유해야 될 상황인가?”라고 했다.

또 다른 청원인도 지난 3일 ‘임신부입니다. 방역패스 이렇게까지 해야 합니까’라는 청원글을 올려 방역패스에 반발했다.

해당 청원인은 “둘째를 임신한 5개월 된 엄마다. 첫째는 올해 7살이다”라며 “정부에서 내린 방역패스로 인해 엄마는 아이에게 매일 미안하다는 말을 달고 살고 있다. 배고파도 참으라. 집에 가야 먹을 수 있다. 엄마가 뱃속에 동생 때문에 백신을 맞을 수가 없어서, 밖에서는 먹을 수가 없어 미안해. 이 말을 보름째 하고 있다”라고 했다.

이어 “임신부는 임신부터 출산 후에도 행복함과 동시에 불안감을 늘 안고 지내야 한다. 늘 한순간 한순간을 마음 졸이며 누구보다 조심하고, 음식 또한 가려 먹고 살고 있다”라며 “백신이 아니어도 매달 혹시나 하는 불안감으로 살고 있는 임신부에게 백신까지 강요를 하다니. 도대체 왜 이렇게까지 해야 하는 건가”라고 했다.

임신·출산·육아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도 임신부 방역패스 적용에 대한 성토가 쏟아지고 있다.

한 네티즌은 “산부인과에 물어보니 이론적으로는 괜찮다는 말만 한다”라며 “맞았을 경우 어떻게 될지 장담 못한다는 것이다. 선택은 내 몫이라고만 하더라. 임신 준비 중 유산을 몇 번 겪어서 더 못 맞겠다”고 하소연했다.

또 다른 네티즌도 “식당, 카페 아예 못가고 친정도 멀어서 혼자 집에만 콕 박혀 있다”며 “오늘 연장된다는 뉴스 보고 갑자기 눈물이 폭발했다. 이렇게 긴 시간 동안 집에만 가둬 놓는 정부가 너무 밉다”라고 했다.

일부 네티즌들은 임산부에 대한 방역패스 면제를 요청하는 청와대 국민청원 서명 독려활동도 벌이고 있다.

한편 김유미 중앙방역대책본부 일상방역관리팀장은 전날(19일) 브리핑에서 “임신부에게는 임신 주수와 관계없이 백신 접종이 권고된다”라며 “다만, 임신 12주 이내의 초기 임신부는 백신을 맞기 전에 주치의와 상담한 후 접종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명일 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