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친구 포스터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괜찮다. 친구끼리 미안한 거 없다.”
곽경택 감독의 영화 ‘친구’의 명대사 중 하나입니다. ‘친구’란 정말 서로 미안한 것 없는 존재일까요? 우리가 ‘친구’라 부를 수 있는 범위는 어디까지일까요? 한 사람이 가질 수 있는 친구는 최대 몇 명까지일까요? 진화인류학자 로빈 던바 옥스퍼드대 교수의 책 ‘프렌즈’(어크로스)는 이에 대한 답을 알려줍니다. 던바 교수는 1992년, 영장류의 사회집단 크기는 뇌의 크기에 비례한다는 ‘사회적 뇌 가설’에 따라, 한 사람이 가질 수 있는 친구의 최대치가 150명이라는 연구 결과를 도출해냈지요. 그리하여 150이라는 숫자에 ‘던바의 수(數)’라는 이름이 붙었고, 던바도 덩달아 유명세를 타게 되었습니다.
지난해 미국서 출간된 신간 ‘프렌즈’에서 던바는 친구를 “공항에서 누군가를 기다리다가 우연히 만났을 때 그냥 보내지 않고 옆에 앉혀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사람”이라 정의합니다. 그럴 수 있는 사람이 최대 150명이라는 것이지요. 그렇지만 힘들 때 기대 울 수 있는 ‘절친’은 최대 5명이랍니다. 5명도 많은 것 같지만 이 5명에는 가족, 친지가 포함되기 때문에 따지고 보면 마음을 터놓고 눈물을 보일 수 있는 사람은 세상에 정말 드물다는 이야기가 됩니다.
소셜미디어의 발달로 많은 사람들이 수많은 ‘친구’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 평균을 내 보면 온라인상의 친구 수는 대면으로 만나는 친구 수와 엇비슷하다네요. 던바는 말합니다. 우정이란 혈연관계 보다 약해서 끊임없는 강화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친구를 잃고 싶지 않다면 종종 만나서 이야기 나누고 , 웃고, 스킨십을 하라고요. 코로나가 가져온 비대면의 시대에, 우리가 잃고 있는 건 무엇인가, 생각해 보게 되었습니다.
힘들 때 기대어 울 수 있는 ‘절친’은 몇명일까요
“어떤 글을 쓰기 위해 책을 읽는 경우에 줄을 그어야겠다는 생각이 들 때는, 그것이 동의든 반박이든, 혹은 전혀 새로운 관점이든 자신이 이미 알고 있는 것과 연결되는 지점을 발견했다는 뜻이다. 그렇기 때문에 줄을 그은 뒤에는 왜 줄을 그었는지 적어둬야 한다.”
서평지 ‘서울 리뷰 오브 북스’에 실린 소설가 김연수의 산문 ‘지저분하게 책 읽기를 권함’을 읽다가 이 구절에 밑줄을 그었습니다. 김연수 작가는 누군가 완독한 책만 판매하는 서점을 차리기길 꿈꾸는데, 책을 구비하는 기준을 읽은 흔적이 얼마나 많이 남았느냐로 삼고 싶다고 하네요.
‘헌책방’이 사라지고 ‘중고책방’이 횡행하는 시대, 김 작가는 “중고라고 이름을 붙인 것은 거기 서가에 꽂힌 책들이 낡은 책이 아니라 재판매할 수 있을 정도로 깨끗한 책이라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서인 것 같았다”고 말합니다. 실제로 중고책방에서는 ‘새것에 가까운’ 책을 가장 비싸게 쳐주지요.
““이런 정책이 사람들에게 주는 메시지는 분명하다. 깨끗하게 읽으면 다시 팔 기회가 생긴다는 것, 그렇기 때문에 중고책방에 되팔 수 있는 가능성을 염두에 두는 독자라면 처음부터 책을 깨끗하게 읽으려고 할 것이다.””
청계천 헌책방거리.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과거에 ‘헌책’을 구입하는 묘미 중 하나는 먼저 읽은 이의 흔적을 통해 그 책이 얼마나 사랑받았는가를 짐작하는 일이었습니다. 밑줄, 메모, 속표지의 헌사. 책을 귀히 여기는 마음이 수많은 자취를 남기는 일과 동의어라 여기던 때가 있었죠. ‘지저분하게’ 읽는다는 것은 그 책을 영원히 소장하겠다는 의지의 표명이기도 할 테니까요. 앞서 읽은 이의 밑줄이 같은 책을 읽는다는 연대감을 안겨주던, ‘지저분한 헌책’의 시대가 그립습니다. 곽아람 Books 팀장
[곽아람 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