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30 (목)

靑, ‘조선구마사’ ‘설강화’ 논란에 “지나친 역사 왜곡은 심의 대상”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청와대가 14일 역사 왜곡 논란에 휘말린 드라마 폐지를 요구하는 국민청원에 대해 “지나친 역사 왜곡 등 방송의 공적 책임을 저해하거나 심의 규정을 위반하는 방송은 심의 대상이 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중국풍 설정으로 논란을 일으킨 SBS ‘조선구마사’와 민주화운동을 폄훼했다는 지적이 나온 JTBC ‘설강화’에 대한 국민 청원이 20만명을 넘으면서 청와대가 답변을 내놓은 것이다.

청와대는 “창작물에 대한 정부의 직접 개입은 표현의 자유를 침해할 수 있어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전제했다. 또 “정부는 국민 정서에 반하는 내용에 대해 창작자, 제작자, 수용자 등 민간에서 이뤄지는 자정 노력 및 자율적 선택을 존중한다”고 했다.

그러면서도 지나친 역사 왜곡은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심의 대상이 된다며 “현재 5기 방심위 위원 구성이 지연되고 있어 심의가 이뤄지지 못하고 있으나, 향후 구성되는 즉시 안건을 상정하여 방송 심의 규정 위반 여부를 논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조선일보

일러스트=유현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앞서 국민청원 게시판에는 지난 3월 “역사왜곡 동북공정 드라마 ‘조선구마사’의 즉각 방영 중지를 요청합니다”라는 제목의 청원이 올라왔다. 이 청원자는 ‘조선구마사’가 조선 태종 시대를 배경으로 한 창작물임에도 지나친 중국식 인테리어와 소품을 사용해 외국인들에게 잘못된 역사 인식을 심어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 청원은 한 달 만에 24만 7200여명의 동의를 얻어 청와대 답변 대상이 됐다. SBS 측은 역사 왜곡 논란이 일자 방송 이틀 만에 드라마를 폐지했다.

아직 방영되지 않은 JTBC 드라마 ‘설강화’의 경우 시놉시스와 캐릭터 소개글 일부가 유출되며 역사 왜곡 논란이 불거졌다. 명문대에 재학 중인 운동권 학생인 줄 알았던 남자 주인공이 사실은 북한에서 파견된 간첩이라는 게 이 드라마의 설정인데, 이에 대해 민주화 운동을 폄훼하고 안기부와 간첩을 미화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설강화’의 촬영을 중지시켜달라는 내용의 청와대 청원은 한 달 만에 22만 6000여명의 동의를 얻었다.

JTBC 측은 “현재 논란은 미완성된 시놉시스와 캐릭터 소개 글 일부의 조합으로 구성된 단편적 정보에서 비롯된 것이며, 민주화운동을 폄훼하고 안기부와 간첩을 미화하는 드라마가 아니다”라고 했다.

[남지현 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