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이슈 화웨이와 국제사회

'태평양 섬나라 연결' 해저케이블 입찰 백지화…中화웨이 유력하자 美가 반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입찰 참여 화웨이가 최저가 써내

해당 케이블 미국령 괌에 연결예정

헤럴드경제

양제츠 중국 공산당 외교담당 특사와 왕이 중국 외교부장이 18일(현지시간) 미 알래스카 앵커리지에서 열린 미중 고위급 회담에서 발언하고 있다. 이날 미중 양측은 회의 시작부터 핵심 이익에 대한 첨예한 대립 속에 날선 공방을 벌였다.[AP]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김수한 기자] 중국 화웨이의 수주 가능성이 컸던 태평양 지역 해저케이블 부설 사업 입찰이 백지화됐다.

19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에 따르면 태평양 섬나라인 미크로네시아, 키리바시, 나우루를 광케이블로 잇는 사업의 입찰이 지난해 5월까지 일본 NEC, 유럽 알카텔 서브마린 네트웍스, 중국 화웨이 등 3개 업체가 참여한 가운데 진행됐다.

미크로네시아 등 3개국 통신사업자로 구성된 컨소시엄이 주도하는 이 사업에는 세계은행과 아시아개발은행(ADB)이 자금을 지원하고, 사업비는 5445만 달러 (약 616억원) 규모로 책정됐다.

입찰 결과 화웨이가 가장 낮은 가격을 써내 수주할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었다. 그러나 컨소시엄 측은 응찰 3사에 "입찰을 무효로 한다"고 지난달 통보한 사실이 최근 알려졌다.

화웨이 측은 입찰 무효와 관련, "공식 통보를 받았다"면서 유감을 표명했다.

이번 입찰 대상 케이블은 이미 부설된 다른 케이블을 통해 미국 괌으로 연결될 예정이다.

미국은 그런 배경에서 중국 기업의 수주 가능성을 극도로 경계하면서 사업을 진행하는 3개국과 세계은행에 입찰 재검토를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 태평양 섬나라 3개국 중 미크로네시아는 자유연합협정을 맺은 미국에 방위를 의존하고 있다.

반면에 키리바시는 2019년 수교 대상국을 대만에서 중국으로 바꾸었고, 대만과 외교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나우루에는 중국이 외교적으로 접근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닛케이는 화웨이가 가장 낮은 가격을 제시했지만, 미국·일본·호주가 안보상 문제를 제기한 것이 입찰 무효화의 배경이라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미중간 갈등과 패권 다툼이 세계 통신 인프라 구축에도 그림자를 드리우고 있다고 전했다.

soohan@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