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이슈 고용위기와 한국경제

코로나19에 취업자 수 IMF위기 이후 최장 기간 연속 감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통계청 11월 고용동향 악화

실업률, 전년동기대비 0.3%포인트 상승

세계파이낸스

통계청의 11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코로나19로 인해 취업과 고용상황이 악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처=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임정빈 선임기자]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영향으로 취업자 수가 국제통화기금(IMF) 경제 위기 이후 최장기간 연속 감소세를 나타냈다.

통계청이 16일 발표한 '11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는 2724만1000명으로 1년 전보다 27만3000명 감소했다.

취업자는 3월(-19만5000명), 4월(-47만6000명), 5월(-39만2000명), 6월(-35만2000명), 7월(-27만7000명), 8월(-27만4000명), 9월(-39만2000명), 10월(-42만1000명)에 이어 9개월 연속 감소했다.

IMF 위기 때 1998년 1월부터 1999년 4월까지 16개월 연속 감소한 이후 최장기간이다.

11월 취업자 감소 폭은 10월보다는 작아졌다. 연속 감소 기간 중 3월에 이어 가장 감소 폭이 작았다.

통계청은 “10월 12일 거리두기가 1단계로 내려간 영향이 반영됐다”며 “숙박·음식점업 등 대면서비스업과 임시직에서 취업자 감소 폭이 줄었다”고 밝혔다.

숙박·음식점업은 16만1000명, 도매 및 소매업은 16만6000명 감소했다. 각각 10월의 22만7000명, 18만8000명보다 감소 폭이 축소됐다.

반면 제조업은 10월(-9만8000명)보다 11월(-11만3000명) 감소 폭이 컸다.

공공행정·국방·사회보장행정(15만2000명), 보건업·사회복지서비스업(11만4000명), 건설업(7만7000명)은 취업자가 늘었다.

임금근로자(-16만9000명)와 비임금근로자(-10만5000명) 모두 줄었다.

연령별로는 60세 이상에서 37만2000명 늘어난 것을 제외하고는 15∼29세(-24만3000명), 30대(19만4000명), 40대(13만5000명), 50대(7만4000명) 등 모든 연령층에서 취업자가 줄었다.

통계상 취업자로 분류되는 일시휴직자는 18만9천명 늘었다.

15세 이상 고용률은 60.7%로 1년 전보다 1.0%포인트 줄었다. 11월 기준으로 2013년 11월(60.7%) 이후 최저치다.

15∼29세 청년 고용률은 42.4%로 1.9%포인트 하락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비교 기준인 15∼64세 고용률은 66.3%로 1년 전보다 1.1%포인트 내렸다.

실업자는 96만7000명으로 1년 전보다 10만1000명 늘었다.

실업률은 3.4%로 1년 전보다 0.3%포인트 상승했다. 11월 기준으로 2004년 11월(3.5%) 이후 가장 높다.

15∼29세 청년 실업률은 8.1%로 1.1%포인트 올랐다.

경제활동인구는 2820만8000명으로 17만2000명 늘었고, 비경제활동인구는 1667만5000명으로 43만1000명 늘었다.

비경제활동인구 중 ‘쉬었음’으로 분류된 사람은 235만3000명이었다.

‘쉬었음’ 인구는 50대(1만7000명↓)를 제외한 20대(8만8000명↑), 30대(3만9000명↑), 40대(3만3000명↑), 60세 이상(6만8000명↑) 등에서 모두 증가했다.

구직단념자는 63만1000명으로 14만4000명 늘었다.

통계청은 앞으로 고용상황이 코로나19 3차 확산 영향으로 더 악화할 것으로 전망했다.

jblim@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