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건희 회장은 재계 오너 중 가장 넓고 깊은 해외 인맥으로 유명하다.
이 회장은 일본 와세다대 상학부에서 공부해 일본어나 일본 문화에 대한 이해가 깊었고, 이를 바탕으로 일본 기업인과 돈독한 관계를 유지했다.
대표적인 일본 기업인은 사카키바라 사다유키 경제단체연합(게이단렌) 회장, 요네쿠라 히로마사 스미토모화학 회장(전 게이단렌 회장), 미타라이 후지오 캐논 회장 겸 사장 등이다. 이 회장이 경영에 복귀한 직후인 2010년 4월 서울 한남동 승지원으로 초대한 대상도 이들을 포함한 일본 재계단체인 게이단렌 인사들이었다. 이후 삼성과 스미토모화학은 신수종 사업인 발광다이오드(LED)용 핵심 소재인 사파이어 웨이퍼 생산 공장을 공동으로 설립하기도 했다. 첨단소재기업 도레이도 이병철 선대 회장 시절부터 돈독한 관계를 유지해온 대표 일본 기업으로 이 회장이 일본을 방문할 때마다 최고경영진을 만나 친분을 쌓아온 것으로 알려졌다.
이 회장은 신년에 종종 일본을 방문하기에 앞서 기자들을 만나면 "아직까지 우리가 일본으로부터 배워야 할 게 많다"고 말하기도 했다.
이 회장의 해외 인맥은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으로 활동하면서 더욱 넓어졌다. 세계 최대 거부인 멕시코의 카를로스 슬림 텔맥스텔레콤 회장, 올레가리오 바스케스 라냐 엠프레사리얼 안젤리스그룹 회장 등은 IOC 위원으로 활동하면서 맺은 인맥이다.
이 회장은 스웨덴 기업가문 발렌베리와도 가깝게 지냈다. 2012년 마쿠스 발렌베리 SEB 회장, 야콥 발렌베리 인베스터AB 회장이 발렌베리 그룹 경영진 60여 명과 함께 방한했을 때 삼성 리움을 방문해 각별한 친분 관계를 보여주기도 했다.
이 회장은 개인적인 친분을 넘어 해외 석학이나 주요 최고경영자(CEO)들을 수시로 초청해 사업에 대한 자문을 들어왔다. 삼성의 미래 먹거리 사업을 찾기 위해 미래학자 앨빈 토플러, 경영학의 구루 피터 드러커 등과 틈만 나면 만나 혜안을 청취했고, 잭 웰치 전 GE 회장, 칼리 피오리나 전 HP 회장, 리카싱 홍콩 청쿵그룹 회장 등과도 교류한 것으로 전해진다.
[전경운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