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 꺼진 한국거래소. 2024.10.13 [한주형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내년부터 상장폐지 제도가 바뀔 전망이다. 한층 빠르고 엄격하게 부실기업들을 쳐내 시장의 건전성을 확립하기 위함이다. 좀비기업에 묶여있던 자금들이 성장성이 높은 기업으로 흘러 증시의 활력을 더할 것이고, 시장이 건실한 기업으로 꾸려지면 투자자의 신뢰도 회복할 수 있다.
일견 바람직한 일로 비칠 수 있지만 한국거래소가 여태 ‘상폐 칼춤’을 추지 않은 건 투자자를 위해서다. 상장폐지가 결정된 주식은 일반적으로 정리매매기간에 휴지조각이 된다. 상장폐지까지 몰린 기업의 주식이 장외시장에서 제대로 거래될 리 만무하며 재상장하는 사례도 극히 드물기 때문이다.
수년을 이어져 온 거래소의 온정주의는 밸류업 프로그램을 계기로 변화를 앞두게 됐다. ‘코리아 디스카운트’를 해결하겠다는 정부의 의지가 확고하다. 명분을 얻은 거래소도 상반기부터 구체적인 심사 기간 단축안을 언급하는 등 적극적이다.
다만 핵심은 연내 드러날 제도 개선안이 기대에 부합할지 여부다. 자본시장연구원이 11월에 내놓을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공청회와 의견수렴 절차를 거쳐 제도안이 설정된다. 이 과정에서부터 상폐의 칼끝이 향할 바이오 기업 등 여러 주체들의 반발에 부딪힐 수밖에 없다.
실효성이 있는 상폐 제도를 내놓더라도 심사 대상이 되는 상장사의 주주들이 매섭게 항의할 것이다. 상장폐지되는 기업을 두 배로 늘린다고 하더라도 당장 코스피 지수가 그에 비례해 치솟을 순 없다. 오히려 투자금을 잃을 위기에 처할 주주들만 어림잡아도 배로 뛴다. 시장 건전성을 위한 바람직한 결단이라는 박수 소리는 아득하겠지만 주주들의 비명은 눈앞에서 울리는 형국이다.
그래도 금융위와 거래소는 현재보다 미래를, 대의를 앞세우는 읍참마속의 심정으로 단호하게 구조조정을 밀어붙여야 한다. 국내 증시를 떠나 해외에 투자하는 서학개미의 투자금이 사상 최대치에 이르렀고, 코스피와 코스닥 수익률은 글로벌 꼴찌를 전전한 지 오래다.
상장사 수가 늘어만 가는 ‘박스피’와는 달리 나스닥은 퇴출당하는 기업 수가 신규 상장사를 넘어선다. 상장과 퇴출의 선순환만이 나스닥이 우상향 곡선을 그리는 유일한 이유까지는 아니겠지만 필수 불가결한 하나의 축이라는 점에는 이견이 없을 것이다. 국내 증시의 체질 개선이 시급하다는 컨센서스가 마련된 만큼 금융당국과 거래소는 이 시기를 놓치지 않았으면 한다.
김정석 증권부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