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남해 해상풍력 실증단지 방문… 60MW 규모
고창·부안군 전력 15% 담당… 연간 155GWh 생산 예상
블레이드 파손 문제 해결… 글로벌 선도 기업도 겪는 '성장통'
서남해 해상풍력 실증단지 전경./제공= 한국해상풍력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아시아투데이 조재학 기자 = “지난해 풍력발전기의 블레이드(날개) 파손 사례는 ‘값비싼 수업료’를 치른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지난 21일 찾은 서남해 해상풍력 실증단지는 ‘2030년 세계 5대 해상풍력 강국’을 목표로 하는 우리나라의 전초기지나 다름없었다. 서남해 해상풍력의 성패가 곧 우리나라 해상풍력 산업의 미래와 직결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었다. 실증단지는 국내 해상풍력 산업의 최선두에 서서 블레이드 파손 등 ‘성장통’을 거치며 도약의 발판을 마련하고 있다.
서남해 해상풍력 실증단지./제공= 한국해상풍력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전북 고창군 상하면 구시포항에서 배를 타고 10여 분 나가자 멀리서 풍력발전기가 눈에 들어왔다. 빗방울이 금방이라도 떨어질 듯한 흐린 날씨에도 20기의 풍력발전기는 주변 바다를 압도하며 서있었다. 60메가와트(MW) 규모인 실증단지는 매년 155기가와트시(GWh) 전력을 생산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지난해 부안·고창군 전기 사용량의 약 15%에 해당하는 수치다.
실증단지에 가까워지자 바람이 크게 불지 않아 대다수 풍력발전기는 멈춰있었고, 발전기 3~4기가 간간히 돌아갔다. 실증단지 풍력발전기의 설비이용률은 29.5%다. 하루 약 7시간 전기를 생산하는 셈이다. 10월부터 4월까지 풍황이 우수해 일 년 중 이 기간에 전력 생산이 주로 이뤄진다.
서남해 해상풍력 실증단지 발전현황./조재학 아시아투데이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올해 국감에서 이슈가 됐던 블레이드 파손 문제는 해결된 것으로 보였다. 이주환 국민의힘 의원실에 따르면 지난해 실증단지 내 발전기 4기의 블레이드가 파손됐다. 한국해상풍력(한해풍)은 발전기 20기 중 17기에 날개직경 134m 경량 탄소섬유 블레이드를 채택했다. 제주도에 비해 풍속이 낮아 불리한 조건에서도 발전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블레이드 길이는 늘리면서 무게를 줄이기 위한 조처였다. 하지만 탄소섬유 블레이드 양산 제작 과정 중 결함 문제로 파손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다.
두산중공업 관계자는 “파손된 블레이드는 모두 교체하고 해당 발전기는 정상운전을 하고 있으며, 나머지 발전기의 블레이드도 교체할 예정”이라며 “자동차 리콜(제작결함시정) 등과 같이 신제품을 양산하다 보면 파손사고 등이 일어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현재 원인파악을 마치고 재발방지대책도 수립했다”고 덧붙였다.
풍력업계에서도 블레이드 파손사례 등은 글로벌 선도 기업에서도 나타나는 사례라고 해명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서남해 실증단지에 처음으로 경량 탄소섬유 블레이드를 채택했기 때문에 시행착오가 발생한 것”이라며 “실증단지는 프로젝트의 1단계로, 제품을 시험해보기 위한 역할도 한다”고 말했다.
석션버켓 방식의 하부 구조물(왼쪽)과 자켓 방식의 하부구조물(오른쪽)./조재학 아시아투데이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실제로 실증단지에선 다양한 신기술을 검증하고 있다. 석션버켓 공법이 대표적이다. 실증단지 내 20기 가운데 1기는 석션버켓 방식의 하부 구조물이 설치됐다. 석션버켓 방식은 주변 펄을 흡착해 고정하는 방식이다. 암반층까지 파일을 항타하는 자켓 방식에 비해 진동과 소음을 줄일 수 있다. 특히 공사기간도 기존 43일에서 2일로 줄어들고, 비용도 13억가량 아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자켓 방식 구조물은 4개 기둥이 바다에 뿌리를 박은 모습이 석유 시추선과 흡사하다면, 석션버켓 방식 구조물은 큰 원통형 기둥이 등대와 닮아 보였다. 한해풍 관계자는 “석션버켓 방식의 구조물을 설치한 후 태풍 4~5개가 지나갔지만, 기울기 변화나 위치 변향 등이 없었다”고 설명했다.
서남해 해상풍력 실증단지 전경./제공= 한국해상풍력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해상풍력 보급에 가장 높은 허들인 주민수용성 문제도 서남해 해상풍력 단지가 최전선에 서있다. 정부는 1단계 실증단지를 시작으로 시범단지(2단계), 확산단지(3단계) 등 총 3단계에 걸쳐 총 2.46기가와트(GW)의 해상풍력 단지를 건설한다는 계획이다. 당초 지난해 3단계 사업까지 마무리할 계획이었으나, 주민 반발 등에 부딪쳐 1단계인 실증단지도 사업계획 발표 이후 6년 만인 2017년 착공에 들어갔다. 최근에도 수협 해상풍력대책위원회가 추진한 ‘일방적 해상풍력사업 추진반대 서명운동’에 53만여 명이 참가하는 등 파열음이 커지고 있다.
한해풍이 찾은 해답은 주민상생이다. 우선 해상풍력발전을 통한 이익공유형 사업 기반을 마련했다. 지자체·주민참여 사업 추진으로 발생하는 추가 수익을 환원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주민참여 최적 방안 수립 용역을 다음달까지 수행한다.
또 국내 최초로 풍력단지 내 선박통항과 어로작업을 허용했다. 해상풍력단지 개발로 인한 조업구역 축소 등을 개선해주기 위한 조치다. 다만 안전을 위해 터빈 반경 100m 이내엔 진입할 수 없도록 제한을 뒀다. 특히 통항 선박 안전 확보를 위해 레이더, 열화상카메라 등 감시 설비를 운영한다.
정부는 2030년까지 12GW 규모의 해상풍력 설비를 준공해 세계 5대 해상풍력 강국을 만들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국내 해상풍력 산업의 미래가 궁금하다면 서남해 해상풍력 사업의 귀추를 지켜볼 일이다.
ⓒ "젊은 파워, 모바일 넘버원 아시아투데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