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국내 증시 전반적 상승장에도 게임·기술주 약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코노믹리뷰=황대영 기자] 미국이 바이트댄스의 틱톡을 제재 대상으로 올리며 대(對)중국 제재 수위를 올리고 있다. 특히 중국산 메신저 위챗(Wechat)까지 추가적인 제재 대상으로 올리면서 텐센트가 ‘제2의 화웨이’로 전락할 우려까지 나오고 있다. 이 때문에 국내 게임ㆍ기술주(株)도 영향권에 접어들고 있다.
지난달 31일(현지시간) 마이크로소프트(MS)를 비롯한 미국 기업들이 틱톡의 모회사인 바이트댄스와 미국 내 틱톡 사업 매각 협상을 진행 중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 내 틱톡 사용 금지 조치를 내리면서 퇴출 시한부를 맞았기 때문이다. 이후 미 정부는 45일간의 유예기간을 두고 MS와 바이트댄스의 인수 협상을 진행하는 방안에 동의했다.
비교적 유화적인 제스처에도 불구하고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6일(현지시간) 미국 기업들이 향후 45일 이후 틱톡과 위챗을 각각 서비스하는 바이트댄스와 텐센트와 거래를 하지 말라는 내용을 담은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이 때문에 틱톡과 위챗은 사실상 퇴출이 가시화됐다.
미국은 바이트댄스에 글로벌 서비스에 초점을 담은 제재를 마련했지만, 텐센트에는 서비스보다 기업에 초점이 맞춰졌다. 이는 위챗이 해외보다 중국 내수 시장에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제재안에 포함됐기 때문이다. 텐센트는 위챗을 통해 중국 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시장 80%를 독식하며, 간편결제와 음식 배달, 호텔 예약 등으로 서비스를 확장하고 있다.
특히 텐센트는 국내 ICT 기업에 큰 영향을 행사 중이다. 텐센트는 카카오, 넷마블, 크래프톤, 카카오페이지, 네시삼십삼분, 카카오뱅크, 카카오게임즈 등 국내 ICT 기업의 주요 주주로 이름을 올리고 있다. 특히 상장사인 카카오와 넷마블에 각각 599만9849주(6.4%), 1505만7800주(17.56%)를 보유 중이다.
또한 국내 게임 기업들의 중국 진출에 주요한 경로가 텐센트다. 중국에서 게임 서비스로 성공한 국내 기업들은 대부분 텐센트를 통했다. 대표적인 기업으로는 스마일게이트(크로스파이어), 넥슨(던전앤파이터), 엔씨소프트(블레이드&소울) 등이 있으며, 텐센트와 계약 소식 하나만으로도 중견 게임사의 주가가 널뛰기도 했다.
그러나 미국 제재 리스트에 텐센트가 포함되면서 게임주가 약세를 보이고 있다. 11일 13시 기준 코스피는 개인ㆍ외국인 동반 매수세에 2400 고지를 돌파하며 52주 최고점을 경신했다. 하지만 같은 시간 게임주는 상승장에도 불구하고 전일 대비 -0.79% 하락했다. 또 카카오의 주가도 전일 대비 1500원(0.42%) 하락한 35만4500원을 기록 중이다.
이 같은 텐센트 제재가 아직 본격화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추가적인 쇼크까지 우려되고 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텐센트는 지난 6일 트럼프 대통령의 행정명령 서명 이후 시가총액이 하루만에 약 89조원 증발했으며, 10일에는 장중 4.6%까지 하락했다. 다만 11일에는 조정을 받아 소폭 회복하고 있다. 45일 이내 미중 합의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세부적인 제재안과 함께 추가적인 급락을 면치 못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국내 ICT 기업에도 영향이 미칠 전망이다.
다만 텐센트가 거대한 내수시장에 기대어 미국의 제재에도 영향이 미비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앞서 화웨이는 미국 제재에도 불구하고 내수시장을 바탕으로 충격을 완화한 바 있다. 이에 따라 내수 매출 비중이 96%에 달하는 텐센트는 비교적 화웨이보다 적은 충격에, 화웨이 제재 때 나타난 애국 마케팅의 일환으로 내수가 확대돼 오히려 수혜까지 전망되고 있다.
하나금융투자 김경환 연구원은 “중국이 매우 노골적이고 장기적인 ‘벙커링 전략’을 선언했다고 평가한다. 벙커링 전략은 포스트 코로나와 신냉전을 대비해 내수 중심의 자력갱생을 의미하는 두 가지 순환 경제이며, 중국 투자전략에 큰 영향을 줄 능동적인 변화다”라며 “중장기 수혜 분야는 면세점, 온라인플랫폼, 가전, 전기차, 음식료, 5G, 반도체 장비 분야별 1등 기업이며, 텐센트를 포함해 내수 성장주가 집중 편입된 항생테크지수에 대한 관심을 계속 권고한다”라고 분석했다.
황대영 기자
-Copyright ⓒ 이코노믹리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