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기상조냐 당장 대비해야 하느냐를 놓고 의견이 분분한 6세대(6G) 통신 서비스에 대해 지금이라도 글로벌 시장의 주도권 확보를 위한 노력이 시급하다는 정부 연구기관 보고서가 나왔다.
얼마 전 '6G 백서'를 공개하며 초연결 비전을 내세운 삼성전자가 '너무 이른 것 아니냐'는 일각의 지적에 대해 "연구를 서둘러야 한다"고 응수한 이후 정부 산하 기관에서도 비슷한 취지의 보고서로 목소리를 내는 것이라 관심을 모은다.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은 전날(27일) 내놓은 '주요국, 6G 주도권 선점 경쟁 본격화'란 제목의 보고서를 통해 "세계 최초로 5G 서비스를 개시한 우리나라가 5G 이후 기술 주도권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이미 시작된 6G 경쟁 대열에 발 빠르게 동참해야 한다"며 이 같이 밝혔다.
6G는 5G의 이론상 최대 전송속도 20Gbps(초당 기가비트) 보다 무려 50배(1Tbps) 빠르기 때문에 2기가바이트(GB) 용량 영화 한편을 약 0.016초만에 내려 받을 수 있다.
5G의 특성인 '초고속·초저지연·초연결' 성능이 한단계 업그레이드 된 것이라 일상에 접목하면 비약적 향상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교통 분야에 활용하면 대도시에서 수백만 대의 차량의 완전자율주행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다. 6G는 사람의 개입없이 대규모 실시간 소통과 협업이 가능한 특성을 갖고 있어서다.
일각에서는 아직 5G 서비스가 깊게 뿌리내리지 못한 상황에서 이르면 2028년에나 상용화가 예상되는 6G 연구를 하는 것은 시기상조라는 지적이 나오기도 했다.
이에 삼성전자의 통합 연구조직 삼성리서치의 최성현 차세대통신연구센터장은 얼마 전 회사 홈페이지 뉴스룸에 기고문을 올리고 "6G는 5G보다 훨씬 치열한 경쟁이 예상된다"며 선제적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의 연구개발(R&D) 전담기관인 정보통신기획평가원도 보고서를 통해 우리나라보다 한발 앞서 6G 원천기술 확보 경쟁에 나선 주요국 동향을 소개하면서 "향후 10년을 내다보며 체계적 준비에 나설 때"라고 강조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오는 2030년을 전후로 상용화 예정인 6G 시장의 주도권 선점을 위해 미국과 유럽, 중국, 일본 등을 중심으로 원천기술 확보를 위한 국가 차원의 대규모 R&D 경쟁이 본격화하고 있다.
미국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해 2월 '가능한 가능한 빨리 5G, 6G 기술을 도입해야 하며 분명히 다가올 미래에 뒤처지지 않기 위해 미국이 기술 세계에서 리더가 되어야 한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이에 미국 국방성 산하 연구개발 조직 가운데 하나인 DARPA(고등연구계획국)을 중심으로 6G용 테라헤르츠 대역(100GHz~1THz) 활용기술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5년 동안 총 2750만달러의 예산을 들여 10개 대학과 공동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유럽에선 핀란드 오울루대학을 중심으로 6G 연구 생태계 선점을 위한 작업에 착수, 8년 동안 2억5100억원의 유로를 투입키로 했으며 EU(유럽연합)은 6G에서 선두주자가 되기 위해 투자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회원국들의 관심을 환기시키는 노력을 하고 있다.
중국은 2018년부터 5년 단위 중점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지난해 11월 범부처 컨트롤 타워를 구축하고 국가 차원에서 6G 전략을 본격화하고 있다. 일본 역시 총무성이 지난 4월 도쿄대 총장을 좌장으로 대학 연구진과 민간 기업이 참여한 'Beyond 5G 추진전략 간담회'란 연구회를 발족하고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보고서는 "세계 최초 5G 상용화 과정에서 축적한 노하우를 발판삼아, 주요국에 비해 한발 늦은 6G 경쟁에서 앞서가기 위해 핵심원천기술 확보 전략이 시급하다"라며 "향후 10년을 준비하는 만큼 민관협력 기반 국제 협력 강화·표준특허 논의 주도 등을 통해 R&D 연구 생태계를 선점하는 차별화된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아우러 "주요국을 중심으로 국가 주도 투자와 전략이 가시화되는 만큼, 6G 연구에 장기·선제적 투자를 강화해 핵심원천기술을 확보하고 이를 통해 장비, 소재·부품의 기술자립을 달성해야 한다"고 밝혔다.
ⓒ비즈니스워치(www.bizwatch.co.kr)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